[아파트 공시가격發 세금인상 얼마나] "작년과 비슷.. 매물폭탄 없을 듯"
김민기 2019. 3. 14. 1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 공동주택의 공시 예정 가격이 공개된 가운데 현실화율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라 시장 충격이 적어 급매물이 쏟아지진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단독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전국 9.13%)에 비해 인상률이 다소 낮은 것은 실거래가격의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좀 더 반영됐기 때문"이라며 "2018년 기준 공시가격의 실거래가격 현실화율은 단독주택이 51.8%, 공동주택이 68.1%로 공동주택의 현실화율이 높았다"고 말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 "시장충격 작다"
kmk@fnnews.com 김민기 서혜진 기자
전국 공동주택의 공시 예정 가격이 공개된 가운데 현실화율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라 시장 충격이 적어 급매물이 쏟아지진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1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공동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얼마나 높아질지 최대 관심사였지만 정부는 현실화율을 지난해 수준인 68.1%를 유지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단독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전국 9.13%)에 비해 인상률이 다소 낮은 것은 실거래가격의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좀 더 반영됐기 때문"이라며 "2018년 기준 공시가격의 실거래가격 현실화율은 단독주택이 51.8%, 공동주택이 68.1%로 공동주택의 현실화율이 높았다"고 말했다.
서울, 전용면적 85㎡ 초과, 9억원 초과 고가주택일수록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특히 서울 강남권 및 용산(17.98%), 동작(17.93%) 등과 경기 남부권인 과천(23.41%), 성남 분당(17.84%) 등 공시가격 9억원 이상 고가주택 보유 및 주택 과다보유자의 보유세 부담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우병탁 신한은행 세무팀장은 "서울 고가주택의 경우 세부담상환은 고령자이면서 장기보유 일부 제외하고 전년도에 비해 150%까지 오를 것"이라면서 "중저가의 경우 공시가격이 5~15% 정도 올랐는데 세부담은 전년 대비 130% 오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매매가격 조정, 거래량 급감 등 주택 구매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보유세 인상에 대한 부담이 더해지면 당분간 가격하락과 거래량 감소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부동산인포 권일 팀장은 "하반기에 입주를 앞둔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 중 잔금을 치를 능력이 없는 사람은 6월 1일 이전에 집을 정리할 수 있다"면서 "지난해 하반기보다 저렴한 매물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갭투자자들은 보유세 부담과 함께 추가적으로 입주물량 증가, 기준금리 상승 등 악재가 여전히 남아 있어 일부 물량을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 양지영 R&C 연구소장은 "대기수요자들은 급급매물 위주로 접근하겠지만 이게 가격상승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악재들로 인한 추가 가격 하방압력이 커서 매수자들도 매수 접근에 보수적이라 결국엔 매물들이 쌓이면서 점진적인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원갑 KB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다주택자는 보유세 과세 기준일인 6월 1일 이전에 증여나 처분을 놓고 고민이 깊어질 것이고 고가 1주택자는 부부 공동명의로 세부담 분산을 도모할 것"이라면서 "서울 강남 등은 양도세 부담으로 다주택자 매물 출회는 많지 않겠지만 보유세 부담으로 매수세 위축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1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공동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얼마나 높아질지 최대 관심사였지만 정부는 현실화율을 지난해 수준인 68.1%를 유지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단독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전국 9.13%)에 비해 인상률이 다소 낮은 것은 실거래가격의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좀 더 반영됐기 때문"이라며 "2018년 기준 공시가격의 실거래가격 현실화율은 단독주택이 51.8%, 공동주택이 68.1%로 공동주택의 현실화율이 높았다"고 말했다.
서울, 전용면적 85㎡ 초과, 9억원 초과 고가주택일수록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특히 서울 강남권 및 용산(17.98%), 동작(17.93%) 등과 경기 남부권인 과천(23.41%), 성남 분당(17.84%) 등 공시가격 9억원 이상 고가주택 보유 및 주택 과다보유자의 보유세 부담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우병탁 신한은행 세무팀장은 "서울 고가주택의 경우 세부담상환은 고령자이면서 장기보유 일부 제외하고 전년도에 비해 150%까지 오를 것"이라면서 "중저가의 경우 공시가격이 5~15% 정도 올랐는데 세부담은 전년 대비 130% 오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매매가격 조정, 거래량 급감 등 주택 구매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보유세 인상에 대한 부담이 더해지면 당분간 가격하락과 거래량 감소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부동산인포 권일 팀장은 "하반기에 입주를 앞둔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 중 잔금을 치를 능력이 없는 사람은 6월 1일 이전에 집을 정리할 수 있다"면서 "지난해 하반기보다 저렴한 매물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갭투자자들은 보유세 부담과 함께 추가적으로 입주물량 증가, 기준금리 상승 등 악재가 여전히 남아 있어 일부 물량을 내놓을 가능성이 크다. 양지영 R&C 연구소장은 "대기수요자들은 급급매물 위주로 접근하겠지만 이게 가격상승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악재들로 인한 추가 가격 하방압력이 커서 매수자들도 매수 접근에 보수적이라 결국엔 매물들이 쌓이면서 점진적인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원갑 KB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다주택자는 보유세 과세 기준일인 6월 1일 이전에 증여나 처분을 놓고 고민이 깊어질 것이고 고가 1주택자는 부부 공동명의로 세부담 분산을 도모할 것"이라면서 "서울 강남 등은 양도세 부담으로 다주택자 매물 출회는 많지 않겠지만 보유세 부담으로 매수세 위축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파이낸셜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처음엔 자해 흔적 없어" 초등생 살해 여교사 '자해' 의도했나
- '20분씩 일찍 출근' 여직원 칭찬했는데, CCTV 보고 충격…"불꺼진 약국서 쓸어담아"
- 산다라박 "19세 때 나이 속이고 14살 男 만나"…논란 속 결국 영상 삭제
- 구준엽, 서희원 잃고 쇠약해진 몸 "심각한 근육 소실"
- '이수근 아내' 박지연 "부푸는 혈관·심장에 힘들어…어두운 생각도"
- 이연복 "건물주 서장훈 임대료 걱정하니 자기 건물서 하라고"
- 김송 "내 애인 강원래 잃어…제발 건들지마"
- "송대관, 빚 280억 끝까지 책임지려…차 안 쪽잠에 하루 5개 행사"
- 김종민과 썸 탔던 사이?…송해나 "죄송하다" 이유는?
- 박지원 "전한길, 어디라고 오나…5·18 광장 집회 불허 당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