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금이 40억' 서울 상지리츠빌카일룸·마크힐스이스트윙 전국 최고
[경향신문] 2017년 이후 전국의 아파트 가운데 전세보증금(실거래가 신고기준)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 강남구 삼성동 상지리츠빌카일룸과 청담동 마크힐스이스트윙으로 각각 40억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7월 기준 서울 지역 평균 전세보증금 4억2000만원의 9.5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자유한국당 김상훈의원은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으로부터 2017년 1월부터 지난 7월까지의 실거래가격 신고기준 ‘아파트 단지별 전세보증금 현황’을 제출받아 상위 20곳과 하위 20곳을 분석, 그 결과를 8일 내놓았다.
분석결과, 전세보증금 최고가 단지는 상지리츠빌카일룸 전용면적 237.74㎡와 마크힐스이스트윙 전용 192.86㎡로 각각 40억원이었다. 이어 서초구 반포동의 아크로리버파크 37억원(200.59㎡), 성동구 성수동 갤러리아포레 35억원(217.86㎡),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33억원(235.31㎡),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1차 33억원(244.66㎡) 등의 순이었다.
전세보증금 상위 20곳은 모두 서울 지역 아파트였으며 18곳이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등 3구에 몰려있었다. 20개 단지의 전세보증금은 최소 20억원을 넘었으며, 상위 10개 단지는 30억원 이상이었다.
전세보증금이 가장 낮은 곳은 충북 영동군의 훼미리타운이 200만원(33.0㎡), 경기 시흥시 부국미산아파트(41.13㎡) 등 18곳이 300만원이 그 뒤를 이었다.
김상훈 의원은 “최근 서울권 집값이 급증하면서 향후 전세값 또한 동반 상승할 조짐이 보이고 있다”며 “관계부처는 곧 있을 이사철의 전세 수요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종훈 선임기자 kjh@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윤석열 파면 7일간 관저서 쓴 수돗물만 228톤···2인 가구 한달 사용량 ‘16배’
- 대통령 파면 후에도 압수수색 막은 경호처 “임의 제출로 자료 내겠다”
- 감사원 ‘정치 보복’ 막는다…민주당, 감사원법 개정 대선 공약화 검토
- 출입국본부장, 박성재 복귀 직후 사표…‘윤석열 출국금지’와 연관?
- 이재명 “임기 내 국회 세종의사당·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
- 축제장서 도시락·떡 먹은 103명 식중독 의심 증세···19명 입원
- 민주당, 오늘 명태균 특검법·내란 특검법·상법 개정안 등 재표결 시도
- [속보]쯔양, 조사 거부하고 40분 만에 나와···“경찰이 피해자 보호 의지 없어”
- [속보]한은, 기준금리 연 2.75%로 동결
- 타임지 ‘올해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이재명·로제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