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국감]김성태 "건설노동자, 일감은 줄고 사고는 늘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설노동자 재해 사망사고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건설사업장수가 12.5% 급감하고 이에 따라 일자리를 유지하는 건설노동자수도 6.1% 줄어드는 반면 사업장 대비 근로자수는 2015년 8.8명에서 2016년 9.5명으로 늘어나 작업환경이나 처우와 관계없이 사업장별 인력공급은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건설현장 재해자수와 사망자수가 급증하고 재해발생율이나 재해사망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건설노동자 재해 사망사고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건설현장에서의 일감은 줄어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성태 의원이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현장 사업장수와 근로자수는 전년대비 각각 12.5%, 6.1% 감소한 반면 재해자수와 사망자수는 각각 5.7%, 12.4% 늘었다.
사업장수 대비 재해발생율은 2015년 6.6%에서 2016년 8.0%로 1.4%p 증가했으며 재해 대비 사망율도 2015년 1.96%에서 2016년 2.09%로 0.13%p 증가했다.
반면 건설사업장수는 2015년 38만 곳에서 2016년 33만 곳으로 5만 곳 가량 줄어들고 건설노동자수도 2015년 336만명에서 2016년 315만명으로 21만명 가량 감소했다. 사업장이 하나 줄어들 때 마다 평균 4.3명의 건설노동자가 일자리를 잃고 있는 셈이다.
김 의원은 "건설사업장수가 12.5% 급감하고 이에 따라 일자리를 유지하는 건설노동자수도 6.1% 줄어드는 반면 사업장 대비 근로자수는 2015년 8.8명에서 2016년 9.5명으로 늘어나 작업환경이나 처우와 관계없이 사업장별 인력공급은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건설현장 재해자수와 사망자수가 급증하고 재해발생율이나 재해사망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은행도 2600억원 당했다"…명문대 출신 30대 금수저, 사기 수법이 - 아시아경제
- 운동 매일 안 해도 된다?…주말에 몰아서 했더니 의외의 결과 나왔다 - 아시아경제
- 박보검·아이유 사진이 왜 여기에?…'폭싹' 불법시청하고 초상권 무단 사용한 中 - 아시아경제
- 장난 삼아 내놨는데 48시간만에 품절대란…'치킨맛 치약' 뭐길래 - 아시아경제
- 차기대선 이재명 48.8% 1위…한덕수 국힘 내 2위 부상[폴폴뉴스] - 아시아경제
- "우리는 무조건 국민의힘 찍는데이" 尹 탄핵에도 보수만 바라보는 서문시장 [르포] - 아시아경제
- "엄마들 사이에선 사이버 오은영 선생님이에요"…'신종 육아법' 깜짝 - 아시아경제
- "재택근무 중 일하는 척"…키보드 2100만번 누른 女형사 해고 - 아시아경제
- "못생긴 일본인이라 말하며 때려"…오노 요코, 비틀스 팬들에 겪은 수난 고백 - 아시아경제
- 유정복, '진짜 대통령 될 것' 이재명 발언에 "갈라치기·저열한 정치"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