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수도권 아파트 1만7천가구 분양..전년비 24%↑

2017. 7. 18. 10: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름 휴가철인 8월은 전통적인 부동산 비수기이지만 대선, 부동산 대책발표 등으로 미뤄졌던 분양 일정이 몰리며 수도권에서는 전년 동기보다 24% 늘어난 약 1만7천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18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8월 전국 아파트 분양예정 물량은 2만5천196가구로 집계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2만5천가구 분양..강남 재건축 아파트 '흥행불패' 관심
[연합뉴스 자료사진]

전국 2만5천가구 분양…강남 재건축 아파트 '흥행불패' 관심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여름 휴가철인 8월은 전통적인 부동산 비수기이지만 대선, 부동산 대책발표 등으로 미뤄졌던 분양 일정이 몰리며 수도권에서는 전년 동기보다 24% 늘어난 약 1만7천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18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8월 전국 아파트 분양예정 물량은 2만5천196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6%(4천903가구) 줄어든 것이다.

수도권의 분양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24%(3천245가구) 증가한 1만6천599가구가 예정돼 있는 반면, 지방에선 전년 동기 대비 49%(8천148가구) 감소한 8천597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서울에서는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강남포레스트(개포시영재건축) 2천296가구,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센트럴자이(신반포6차재건축)' 757가구, 서대문구 홍은동 '홍은6구역두산위브(홍은6구역재건축) 296가구 등 4천745가구가 분양된다.

다음 달 서울에서는 재개발·재건축 단지들이 일반 분양을 앞둔 가운데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분양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고분양가관리지역에 해당하는 강남구, 서초구의 경우 3.3㎡당 평균 분양가가 입지, 가구 수, 브랜드 등이 유사한 인근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 또는 매매가의 110%를 초과하거나 1년 이내 분양한 아파트의 최고 분양가를 초과하면 분양보증심사 거절 위험이 있어 건설사는 분양가 책정에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다.

건설사는 차질 없이 분양을 진행하기 위해 분양가를 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작년 개포동에서 분양한 디에이치아너힐즈, 래미안블레스티지는 고분양가에도 높은 경쟁률로 1순위 청약을 마감한 기록이 있다.

전국 분양예정 물량의 38%가 집중된 경기도에서는 시흥시 계수동 '시흥은계제일풍경채(B4)' 429가구, 이천시 마장면 '이천마장호반베르디움1차' 442가구 등 9천675가구가 분양된다.

인천에서는 남구 도화동 '인천더샵스카이타워' 1천897가구 등 2천179가구가 분양된다.

지방에서는 부산의 분양물량이 2천351가구로 가장 많다. 그밖에 ▲ 세종 1천754가구 ▲ 강원 1천342가구 ▲ 전북 1천128가구 ▲ 경남 903가구 ▲ 광주 544가구 ▲ 충북 455가구 ▲ 전남 120가구가 분양된다.

이현수 부동산114 연구원은 "정부가 6·19 대책에서 서울아파트 시장 과열을 전매금지로 가라앉힐 계획이었으나 서울의 청약 열기는 여전해 보이며 8월 역시 주요 단지들의 청약 열기는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yjkim84@yna.co.kr

☞ [숨은 역사 2cm] 조선은 노비도 80살 넘으면 임금이 예우
☞ 불국사 석가탑, 경주지진에도 끄떡 없었던 '비밀' 은
☞ 명품 클립 하나에 21만원…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장난감 삼킨 두살배기 큰 병원 이송, 진료 거부?
☞ 시진핑 닮은 죄?…곰돌이 푸 검색 차단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