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전세 재계약 하려면 평균 5000만원 더 필요
올 가을 서울에서 전세를 재계약하려면 평균 5000만원이 추가로 필요할 전망이다.
31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2년 전 서울 아파트의 평균 전세금과 현재 전세금을 비교한 결과, 서울에서 전세 재계약을 위해 추가로 드는 비용은 평균 4906만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2009년 당시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전세금이 저렴했던 구로·중랑·노원·도봉·강북·금천구는 전세금이 상승하면서 같은 금액으로는 전세를 얻을 수 있는 곳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전세금이 높은 서초·강남·용산·송파구는 지난 2009년과 마찬가지로 서울 25개구 중 전세금 상위 지역을 유지했다. 특히 서초구는 지난 2년간 전세금이 1억원 가까이 올라 현재 4억3807만원을 기록했다. 서초구의 2년 전 전세금인 3억4187만원으로 현재 서초·강남·용산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전세를 구할 수 있고 같은 서초구에서 재계약을 하려면 9621만원이 추가로 필요하다.
반면 평균 전세금이 저렴한 구로·중랑·노원·도봉·강북·금천구는 2년 전 전세금으로는 서울에서 전세를 구할 수 없어 경기 외곽 지역으로 눈을 돌려야 할 전망이다.
경기도에서는 과천·성남·안양·용인시 등이 전세 선호지역으로 지난 2년 전과 비교해 전세 재계약 시 필요한 추가 금액은 평균 2843만원으로 집계됐다.
박정욱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전세 2년차가 임박한 세입자들은 전세 재계약을 위해 추가 금액을 마련해야 하는데, 주요 강북지역의 세입자 중 추가 전세금을 마련하지 못한 사람들은 경기도 지역에서 전세 매물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핫 뉴스 Best
- ㆍ
'꼬꼬면'대박 이경규로열티 어마어마?
- ㆍ
"월급 160만원 웬말" 신입행원들 뿔났다
- ㆍ
"40평대 전세요? 굳이…" 중대형 아파트는 서럽네
- ㆍ
건설업체도 외면…혁신도시를 어찌하오리까
- ㆍ
자산2조 넘는 대형저축은행 1곳,추가 퇴출 가능성
chosun.com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족적 없이 사라진 ‘크리스 뱅글’ 전철 밟을라… 삼성전자, ‘외국인’ 수혈에도 “조직문화
- “전부 복구하고 나가세요” 정부, 임대인 과다한 원상 복구비 청구 막는다
- [비즈톡톡] 골프·엔터·모빌리티 자회사 매각설 휩싸인 카카오… “제2의 홈플러스 되나” 직원
- 더본코리아 女 생산직 연봉 3200만원…男의 절반도 안돼
- 500만원대 미국산 아이폰?… “美 제조, 中 못 따라가 불가능”
- 석유화학, 美 관세 유예에 반색… 中은 막혀 반사익도
- 게임 못 하게 했다고…고3이 폰으로 교사 폭행
- 미국, 관세 이어 법으로 중국 ‘바이오’ 때리나
- ‘항공기 바꿔치기’ 티웨이, 승객 150명에 손해액 지급 확정
- 페이스북 전 임원 “저커버그, 中과 한통속… 성조기 두르고 뒤로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