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가계대출 모처럼 줄었다
주택거래 부진으로 1년만에 감소DTI 완화 연장에 영향 줄지 주목
은행 가계대출이 모처럼 줄었다. 주택거래가 감소하면서 담보대출 증가세가 무뎌진데다 신용대출 등이 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탓이다.
금융위원회를 비롯한 관계부처는 이번주부터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완화 연장 여부를 놓고 본격적인 협의에 들어갔는데 이번 지표가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을 보면 지난 1월 말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431조2,000억원으로 전달보다 2,000억원 감소했다.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감소한 것은 지난해 1월 이후 1년 만이다.
특히 비수도권이 예금취급기관 전체로 볼 때 5,000억원 줄어들면서 1년 만에 감소로 돌아섰다. 수도권의 가계대출도 5,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쳐 전월의 3조원 증가에 비해 6분의1 수준으로 떨어졌다.
가계대출이 줄어든 데는 역시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주춤해진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DTI 완화의 틈을 타고 지난해 12월 2조7,000억원이나 늘었던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올 1월 1조5,000억원 증가로 뚝 떨어졌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에서도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은 지난해 12월 1조2,000억원에서 올해 5,000억원 수준으로 절반 이하로 내려앉았다.
여기에 연초 기업의 상여금 지급 등으로 마이너스통장식 한도대출 상환이 이뤄지면서 가계대출 증가속도를 늦췄다.
예금은행의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감소액이 1조4,000억원으로 전월의 1,000억원에 비해 크게 확대됐다. 이는 2009년 1월 2조6,000억원 감소한 이후 2년 만에 최대폭이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처럼 무뎌졌지만 이를 추세로 보기에는 어렵다는 견해도 적지 않다. 봄 이사철을 앞두고 다시 주택거래가 늘면 대출이 증가세로 돌아설 수 있다는 것.
당국은 이 같은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늦어도 다음주 중 DTI 규제완화 여부를 포함한 가계대출종합대책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김영기기자 young@sed.co.kr
ㆍ '장자연 비밀' 간직한 A양, 돌연 변심? |
ㆍ 여고생들 상습 성폭행한 교장 '경악' |
ㆍ 화장품 설화수·헤라 "비싼 이유 있었네" |
ㆍ 北 특수부대 초토화할 '초강력 무기' |
ㆍ 日지진 상처에 소금 뿌린 조용기 목사 |
ㆍ 1리터당 17.2Km 달리는 신차 |
ㆍ 안전하고 가격대비 성능 '최고의 차'는? |
ㆍ 몸수색 하던 경찰 "브래지어 벗어라" |
ㆍ 세계 최고기업도 극찬한 '한국기술력' |
ㆍ 이렇게 벗었는데… 섹시여배우 또 굴욕 |
▶[알파클럽] 시장을 주도할 업종 및 유망종목 투자설명회 참가 접수!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협력사 수천 곳 '원청'에 파업권
- 백악관 '韓과 생산적 협상중'…조선이 돌파구 되나
- 조세부담률 8년來 최저…'손쉬운 법인세만 올리는 건 미봉책'
- 촘촘한 로봇 생태계 구축…화웨이엔 “기술력 엔비디아급” 호평 [中 휴머노이드 굴기]
- 與, 방송3법·상법·지역화폐법 줄줄이 처리 시도…野 필리버스터로 맞대응
- 트럼프 '더 弱달러' 강조했지만…환율 상단 1400원 뚫리나
- '전세의 월세화' 확산…전셋값은 강북 오르고 강남 내렸다[집슐랭]
- 종교인 세율, 근로자의 10%뿐인데…'종교인 과세' 또 빠졌다
- [단독]시중銀 ‘GTX펀드’ 회계기준에 발목…AI인프라 투자도 ‘빨간불’
- 美물가 2%대·고용 호조에도…'트럼프 승리' vs '착시 현상' 팽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