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1403] 조정에서 왜 ‘스컬’이라 말할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정에서 쓰는 용어인 '스컬'은 외래어로 좌우의 노를 한 사람이 젓는 가벼운 경주를 의미한다.
'스컬'은 원래 노 젓는 사람 한 명당 두 개의 노를 사용하여 배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조정에서 '스컬'이라는 단어의 주된 의미는 한 선수가 두 개의 노를 사용하여 배를 움직이는 것이다.
말 그대로 싱글스컬은 1인, 더블스컬은 2인, 쿼드러프스컬은 4인이 하는 종목을 의미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컬’은 원래 노 젓는 사람 한 명당 두 개의 노를 사용하여 배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노 젓는 사람 한 명당 노 하나만 사용하여 배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는 ‘스윕(Sweep)’과 대비된다.
영어용어사전에 따르면 Scull’은 헹구다나 씻다라는 의미를 가진 북게르만이나 고대 노르드어 ‘Skola’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 말은 세탁과 관련된 오래된 단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세탁의 앞뒤 움직임이 노를 굴리는 대칭적인 움직임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영어에서 11세기 중세 때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조정에서 ‘스컬’이라는 단어의 주된 의미는 한 선수가 두 개의 노를 사용하여 배를 움직이는 것이다. 두 개의 노를 사용하는 조정 선수를 ‘스컬러(Sculler)’라고 하며, 스컬의 대칭적인 움직임을 통해 배를 추진하는 행위를 ‘스컬링(Sculling)’이라고 한다.
조정을 처음 배우는 사람들은 ‘스컬(Scull)’이라는 단어가 머리뼈를 의미하는 ‘스컬(Skull)"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발음은 같지만 의미는 다르다. ’skull‘은 조개 껍질을 뜻하는 ’쉘(shell)‘과 같은 어근에서 유래했다.
‘스컬’은 대칭적인 의미를 갖는다. 다른 스포츠 종목에서도 이 말을 쓴다. 수영에서 손과 팔뚝을 앞뒤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스컬링’이라고 말하며, 스케이팅에서 스케이트를 앞뒤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는 동작도 ‘스컬링’이라고 부른다.
조정에서 스컬이라는 말을 쓰는 세부 종목은 싱글스컬, 더블스컬, 쿼드러플스컬 등이 있다. 말 그대로 싱글스컬은 1인, 더블스컬은 2인, 쿼드러프스컬은 4인이 하는 종목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언론은 1950년대부터 조정 경기에서 스컬 종목을 소개했다.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에 따르면 동아일보 1952년 7월20일자 漕艇競技日程(조정경기일정)‘ 기사는 헬싱키 올림픽 조정경기 일정에서 싱글스컬 등에 출전하는 각국 선수들의 대진표를 전했다. .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기자 / kimbundang@maniareport.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Copyright © 마니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