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족보행 로봇이 벽타고 천장을 걷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박해원 교수팀이 자석이 달라붙을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 기어 올라가는 사족보행 로봇 '마블(MARVEL)'을 개발했다.
사족보행 로봇 '마블'은 전자기력으로 작동하는 영구전기자석(Electropermanent Magnet)과 고무 재질의 합성수지에 철가루 같은 자기응답인자를 섞은 자기유변탄성체(Magneto-Rheological Elastomer)로 발바닥을 만든 것이 특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석 달라붙는 곳이면 어디든 올라가
벽면을 1분에 최대 42m 속도로 이동
물건·장비 최대 37㎏까지 탑재 가능
위험한 현장에 사람 대신 투입
이 로봇은 철로 된 벽면을 1분에 42m의 속도로 올라갔다. 또한 천장에 거꾸로 매달려 1분에 30m의 속도로 이동했다. 연구진은 "보행형 등반 로봇으로는 세계 최고의 속도"라고 설명했다.
또 연구진은 페인트가 칠해지고, 먼지나 녹으로 더러워진 물탱크를 오르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결과, 마블은 1분에 21m 속도로 올라갔으며, 벽에 돌출된 5㎝ 높이의 장애물도 쉽게 넘어가는 등 실제 현장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영구전기자석은 짧은 시간의 전류 펄스로 전자기력을 켜고 끌 수 있는 자석으로 일반적인 전자석과 달리 자기력의 유지를 위해 에너지가 들지 않는다. 또한, 로봇의 발바닥에 자기유변탄성체를 사용해 벽면이 매끄럽지 않아도 자기력을 유지하면서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로봇 발바닥의 무게는 169g에 불과하지만 영구전기자석과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해 수직 흡착력과 마찰력이 뛰어났다. 즉, 이 로봇 발바닥은 수직 방향으로 최대 54.5㎏, 수평 방향으로는 최대 45.4㎏ 정도의 무게에도 철판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한편, 이 로봇을 만든 성과는 KAIST 기계공학과 홍승우·엄용 연구원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했으며,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에 발표, 12월호 표지를 장식했다.
#로봇 #한국과학기술원 #마블 #KAIST #중대재해처벌법 #송전탑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래방 女사장 숨진 채 발견…가슴에 큰 자창
- 유재석·GD도 아니다…조세호, 800명 하객 축의금 액수 1위는?
- 구준엽은 12㎏ 빠졌는데…서희원 전남편, 18세 연하와 호화 결혼식
- "수고하셨습니다"...尹 사저엔 '현수막' 걸리고 서초동 가는 길엔 '인간띠' 계획도
- 가만히 있던 박나래 '날벼락'…취중라방 소환에 도난사고까지[N이슈]
- '자궁·갑상선암' 아내, 소주 3병 30분 동안 콸콸…"나이트서 부킹까지"
- 교사 때린 양천구 고3 처벌은?…"고소·고발까진 안 갈 듯"
- 신세령 "오빠는 지적장애·조카는 정신병원·전남편은 구속"
- "기성용 대리인 허위 입장문에 피해" 폭로자들, 손배소 2심도 패소
- '9월 재혼' 김병만, 전처 딸 파양은 아직…"곧 소송 결과 나올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