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최초 '북핵 위협 시나리오' 대응 방안 논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 미국 두 나라는 11월에 열리는 미국 대선 전후로 북한이 7차 핵실험이나 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 등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하고 대응 방안을 협의했습니다.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은 현지시간 4일 워싱턴DC 미 국무부 청사에서 개최된 제5차 한미 외교·국방 확장억제전략협의체 고위급 회의를 마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미 대선을 전후로 중대한 도발을 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양국의 평가"라고 말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두 나라는 11월에 열리는 미국 대선 전후로 북한이 7차 핵실험이나 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 등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하고 대응 방안을 협의했습니다.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은 현지시간 4일 워싱턴DC 미 국무부 청사에서 개최된 제5차 한미 외교·국방 확장억제전략협의체 고위급 회의를 마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미 대선을 전후로 중대한 도발을 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양국의 평가"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와 관련해 오늘 회의에서는 북한의 여러 가능한 도발과 대응에 대해 협의했다"고 소개했습니다.
김 차관은 '북한이 핵을 사용하는 경우 핵으로 대응하자는 것이 한미 양국 정부의 입장'이냐는 질문에 "분명한 것은 북한이 핵을 사용하는 경우 즉각적, 압도적, 결정적 대응에 직면할 것이고, 북한이 핵을 사용하고도 생존할 수 있는 시나리오는 없다는 게 양국의 확고한 입장"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날 회의에서는 처음으로 북핵 위협 상황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억제와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참석자들은 밝혔습니다.
또 인공지능·사이버·생화학 등 비핵 영역의 북한 위협 대응 및 협력 방안과 다자회의 계기 확장억제 메시지의 효과적인 발신 방안도 논의했다고 참석자들은 덧붙였습니다.
전재홍 기자(bobo@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news/2024/world/article/6633845_36445.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 심야 응급실 찾은 윤 대통령 "필수 의료 강화"
- 국민연금 보험료율 27년 만에 대폭 인상‥"50대는 빨리·20대는 천천히"
- 미국 조지아주 고교에서 총격사건‥4명 사망
- 이별 통보하자 또 '살해'‥"경찰 도움 요청했지만"
- 갑자기 막히는 '대출'‥"실수요자 숨통 터줘야"
- "지하주차장에 불났어요" 달려간 동대표들
- [바로간다] "닦아도 닦아도 계속 나와요"‥두드러기에 발진 증상도
- 기시다 내일 방한‥"사도광산 감사 전할 것"
- 피해자는 후유증 시달리는데‥'초등생 성폭행' 20대에 징역 1년 6개월
- 주요 응급실 25곳 '나홀로 당직'‥수도권 병원도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