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백악관, 6월 알래스카 LNG서밋 추진… 韓에 투자 압박”

워싱턴/김은중 특파원 2025. 4. 25. 03:2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알래스카주 LNG 가스관 프로젝트의 LNG 액화 시설 조감도. /알래스카주

백악관 산하 에너지 지배 위원회가 한국과 일본에 알래스카산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계획을 수주 내 밝힐 것을 압박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4일 보도했다. 알래스카주(州) LNG 가스관 사업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핵심 에너지 의제 중 하나로 의회 연설 당시 파트너로 한국과 일본을 호명한 바 있다. 백악관은 오는 6월 알래스카에서 한·일 고위급이 참석하는 서밋(summit) 개최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440억 달러(약 63조300억원) 규모 알래스카 LNG 가스관 사업은 북극권의 가스전에서 알래스카 남쪽까지 약 1300km 길이의 파이프라인을 건설한 뒤 여기서 가스를 액화해 아시아 국가로 수출하는 콘셉트다. 10여 년 전 처음 제안됐지만 막대한 투자 비용 등 사업성이 부족해 성공 가능성이 낮은 프로젝트라 여겨졌다. 하지만 트럼프는 재집권 직후 알래스카 에너지 개발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공화당 소속 마이크 던리비 주지사 등이 한·일 등을 상대로 광폭 세일즈를 하고 있다.

우리 정부의 LNG 사업 참여는 미국과의 상호 관세 협상의 레버리지 중 하나로도 거론되고 있다. ‘에너지 안보’라는 실리를 챙기면서도 미국 측이 문제 삼는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현재 한미 양국 간 실무 협상이 진행 중이고 산업부 고위 관계자가 곧 알래스카 현지도 찾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던리비 주지사는 최근 한국을 찾아 한덕수 총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과 잇따라 만남을 가졌다. 앞서 대만 국영 석유기업인 대만중유공사(CPC)는 알래스카 가스개발공사(AGDC)와 LNG 구매·투자의향서를 체결했다.

다만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24일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가진 ‘2+2 협의’ 브리핑에서 “해당 행사에 대해 알고 있지만 협의에서 언급된 적이 없고, (투자 의향서 서명 요청 압박은) 처음 듣는 얘기”라고 했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