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숙인 윤희숙 “국힘, 깊이 뉘우치며 사죄… 尹, 무엇을 ‘이겼다’는건가”
“차기 대통령, 3년동안 개헌한 후 물러나야”
“정치인들 그대로면 증오 정치 반복될 것”
국민의힘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사태를 두고 “국민의힘은 지금 깊이 뉘우치고 있다”면서 “국민들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24일 밝혔다.
윤 원장은 이날 KBS에서 방영된 21대 대선 정강·정책 방송 연설에서 “국민의힘의 행태는 국민들께 머리를 들지 못할 정도였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자신이 언급한 ‘행태’와 관련해 윤 전 대통령 시절 당과 대통령 간의 수직적 관계를 짚었다. 그는 “권력에 줄 서는 정치가 결국 계엄과 같은 처참한 결과를 낳았다”며 “그렇게 당이 만만했기 때문에 대통령도 계엄 계획을 당에 사전 통보하지 않았을 것이다. 알았더라면, 당내 많은 이들이 용산으로 달려가 결사코 저지했을 것”이라고 했다.
윤 원장은 “대통령의 심기를 살피며 두 명의 당 대표를 강제로 끌어내렸고, 당 대표 경선에 출마한 후보를 눌러 앉히기 위해 수십명의 국회의원들이 연판장을 돌리기까지 했다”면서 당내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이 연판장을 통해 당권을 쥐락펴락했던 사실도 거론했다.
그는 파면 이후 윤 전 대통령의 행보를 겨냥해서도 “얼마 전 파면당하고 사저로 돌아간 대통령은 ‘이기고 돌아왔다’고 말했다”며 “무엇을 이겼다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당에 남겨진 것은 깊은 좌절과 국민의 외면뿐”이라고 말했다.
윤 원장은 다만 비상계엄 사태가 국회와의 극한 대립 때문이라고도 주장했다. 그는 “계엄은 이 모든 것의 시작이 아니라 너무나 혐오스러우면서도 익숙한 우리 정치의 고름이 터진 결과”라고 했다.
그는 “3년 전 새 정부가 들어서자마자 바로 그날부터 다수당은 대통령 탄핵을 압박하기 시작했다”며 “아무리 차분히 바라본다 해도 지난 3년은 다수당이 의석수로 정부를 무력화시킨 무정부상태였다”고 했다. 이어 “이런 정치가 그대로인데 정권만 바뀐다고 무엇이 달라지겠나”라고 덧붙였다.
윤 원장은 그러면서 “6월에 세워질 대한민국의 새 지도자는 징글징글한 정쟁을 뛰어넘어국민 수준에 맞는 정치가 비로소 시작될 수 있도록, 그래서 한국경제가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도록 새판을 까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그러면서 차기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국가 정상화 그리고 경제 안정”을 꼽았다.
그는 차기 대통령이 “취임 첫날 당적을 버림으로써 1호 당원이 아닌 1호 국민임을 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같은) ‘국민 대통령’은 이 비정상적인 위기를 바로잡고 즉시 물러나는 ‘3년 대통령’이어야 한다”며 “비참한 정치를 끝내기 위해서는 대통령과 국회의 권한과 책임을 재편하는 개헌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임기 단축과 개헌을 화두로 내세웠다.
윤 원장은 “우리 정치도 이제 썩은 것을 도려내야 한다. 당장 밉다고 한쪽에 회초리질만 하는 건 고름에 반창고를 붙이는 것과 같다”며 “진영화된 정치를 누구보다 더 악랄하게 이용해 먹은, 그래서 증오와 대립을 유발했던 정치인들이 희희낙락하며 그대로라면 지금과 같은 증오의 정치가 반복되기밖에 더 하겠나”라고 밝혔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스마트 조선소에 필요한 CCTV… 노조는 “감시 당할라” 반대
- 경찰, 여의도 민주당사 인근서 서성이던 흉기 소지 30대 남성 검거
- [줌인] 경기 침체 대비?… 中 공산당, 관료 허리띠 졸라맨다
- 내년 반포서 최대 ’40억 로또' 분양… ‘분양가상한제’ 논란 재점화
- 현대차, 아이오닉5 등 전기차 생산 중단…올해만 세번째
- ‘제2 도시’ 부산 부동산 시장 왜?…법정동 4곳, 경·공매 물건 휩쓸었다
- “나도 황제주였는데”… 실적 부진에 왕관 반납한 그 주식, 반등하려면?
- [르포] “대통령 바뀐다고 ‘빚 굴레’ 벗어나나” 대선 앞둔 자영업자들 ‘한숨’
- 폴더블폰 1위 위태로운 삼성전자... 기술력 앞세운 화웨이 막을 전략은
- [비즈톡톡] 화웨이 이어 샤오미도 ‘칩 독립’… 거침없는 中 ‘반도체 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