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진보의 심장 광주… "무조건 민주당" vs "인자 달라져야제"
━
대선을 40일 앞둔 이날, 광주의 민심은 대체로 '민주당을 밀어줘야 한다'는 분위기가 뚜렷했다. 특히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불법 계엄을 자행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반감이 깊게 자리잡으면서 표심의 향방은 여느때보다도 분명해 보였다. 택시 기사 박모(58)씨는 "예전만치는 않어도 전라도 사람들은 민주당이제"라며 "이재명이 광주에 왔다던디 만나면 잘하라고 해야제"라며 대수롭지 않다는 듯 말했다.
5·18 민주화 운동의 상흔이 여전히 남아 있는 광주 시민들에게 12·3 계엄이 준 충격은 아직 가시지 않았다. 자연스레 민주당을 향한 지지 정서를 다시금 결집시킨 듯 했다. 건식품 가게를 운영하는 임귀순(72)씨는 조심스레 입을 열었다."혹시 또 뭐 일어날까 싶어서 지금도 밤마다 TV 켜놓고 잔다니께… 우리는 직접 눈으로 다 보고 겪은 사람들이여. 그날이 어땠는지 아는디 또 그 짓을 하겄다니 참말로 속이 부글부글 끓었다니께."
정권 교체를 위해 경선에 함께 참여하고 있는 김동연, 김경수 후보가 지원사격에 나서주길 바라는 이도 있었다. 시장 모퉁이에서 배추를 손질하던 다른 상인은 "총 들이미는 거 다 봤는디 그게 계엄이 아니면 뭐시여. 무조권 (정권을) 바꿔야제. 김동연이나 김경수가 좋은 사람이니 나서서 도와줘야 혀"라며 "자리 싸움 하다가 또 정권 놓쳐불면 큰일이제"라고 했다.
이재명 후보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히는 이들도 적잖았다. 가판대에 홍어회와 홍어 무침을 내놓고 있던 양영옥(76세)씨는 "그 사람은 어릴 적에 고생을 했잖여. 그러니 서민 마음을 아는겨. 화끈화끈하고 똑부러지니께 일도 잘 하겄지"라며 과거 이 후보와 찍은 사진을 자랑스럽게 꺼내 보여줬다. 이 후보의 사법리스크 등을 언급하자 "검찰이 그토록 괴롭혀도 아무것도 안 나왔잖여. 깨끗한디 뭣혀"라고 되물었다.
━
점심 무렵 광주중앙도서관 인근에서 만난 강종원(30)씨는 "예전처럼 무조건 민주당이라는 분위기는 많이 옅어진 것 같다"며 "이젠 인물과 정책을 보고 판단해야지 당 이름만 보고 표 주는 시대는 지난 것 같다"고 말했다. 동명로 인근 식당서 나오던 한 20대 여성도 "민주당이든 국민의힘이든 정권을 잡고 나면 결국 비슷하더라"며 "가족들은 대부분 민주당을 지지하지만 저는 선뜻 지지할 후보가 없다"고 털어놨다.
20·30대 남성들은 민주당을 향해 뚜렷하게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광주의 대표적인 젊은 상권 중 하나인 동리단길서 카페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는 김지성(28)씨는 "요즘 친구들 사이에서는 '민주당을 뽑을 바에는 투표를 하지 않겠다'는 말도 나온다. 민주당에 대한 반감이 그만큼 커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 정권 아래에서 청년 남성들이 소외감을 느껴왔다고 했다. "국민의힘을 찍는 순간 '내란 동조자'처럼 취급받는 분위기라 지금은 민주당을 지지하긴 하지만 민주당이 남성들을 대우해줬다고 느껴본 적은 없다"고 토로했다.
관망층도 상당했다. 하태훈(18)씨는 "탄핵을 찬성한 사람 중 청년들에게 유리한 공약을 내세우는 쪽을 선택할 것"이라며 "예전엔 국민의힘을 쳐다보지도 않았다면 이제는 '이런 당도 있구나' 하게 된 것 같다"라고 했다.
반면 민주당을 지지한다는 20·30세대는 이재명 후보에 대한 실용적 기대감을 표했다. 특히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유일한 후보'라는 인식이 민주당과 이 후보를 지지하는 주된 이유로 작용하고 있었다.
━
지난 대선 결과에서도 이 같은 기류가 감지됐다. 당시 광주에서 이재명 민주당 후보는 84.82%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12.72%를 얻었다. 광주에선 1987년 민주화 이후 치러진 대선에서 국민의힘 계열 정당 후보가 두 자릿수 득표율을 넘긴 적이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수치였다. 광산구에 거주하는 주부 박재순(52)씨는 "민주당도 이제 '광주는 무조건 우리 편'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우리(광주)도 안 찍을 수도 있다는 걸 알아야 된다"라고 말했다.
광주 일대를 돌다 보니"싸움박질(싸움질)만 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민주당도 협치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부쩍 들렸다. 당장 발등에 떨어지 경기 불황 등 민생 문제가 시급하다는 탄식이 곳곳에서 나왔다. 민주당 깃발만 보고 투표했던 과거와 달리 인물과 정책을 보고 선택하는 것이 진짜 '광주 정신'이란 자성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양동시장에서 팔리지 않는 야채를 소쿠리에 한 움큼 옮겨 담던 50대 상인은 "계엄 터지고 나서 손님 발길이 더 끊겼다. 10년 넘게 장사하면서 이렇게 어려운 적은 처음"이라며 "당 보고 찍는 게 아니라 정말 경제 걱정하고 서민들 살림살이를 챙길 줄 아는 사람을 뽑으려 한다"고 말했다. 한 어르신은 반찬에 앉은 파리를 휘휘 내쫓으며 "경제 살리는 사람이 최고"라며 "누구를 뽑아야 할지 모르겄어"라고 호응했다.
김성아 기자 tjddk99@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팬티 절친, 부엌서 내 남편과 그 짓거리… "문틈으로 다 봤지만" - 머니S
- "화장실·엘리베이터 무료 이용"… 황당한 '직원 복지' 내건 회사 - 머니S
- "50대 상사가 목 조르고 조몰락조몰락"… 20대 여직원 하소연 - 머니S
- '작곡비 사기 혐의' 유재환 "더 이상 못참아, 죽을 각오로 싸울 것" - 머니S
- '청순 미모에 반전 몸매'… 장원영, 밀착 홀터넥 드레스 완벽 소화 - 머니S
- '재산 1조설' 김재중 "금융해킹 당했는데, 대응 너무 부실해 답답" - 머니S
- "꺼져, 더러운 X녀야"… 프랑스서 인종차별 당한 한국 여성 - 머니S
- '고작 빵조각 때문에?' 결혼식서 난투극… 10대 2명 사망 - 머니S
- '8만명' 목숨 앗아간 자연재해… 중국 쓰촨성 대지진 [오늘의역사] - 머니S
- 결혼 앞둔 예비신랑의 걱정… "신혼부부 부담 줄일 대통령 원해요"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