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2.5% 급등…트럼프, 대중 무역협상 유화적 제스처[뉴욕마감]

신기림 기자 2025. 4. 24. 06: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SJ "중국산 관세, 50~65%로 절반 가까이 인하 검토"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 AFP=뉴스1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미국 뉴욕 증시가 2거래일 연속 급등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 협상이 곧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 불을 지폈다. 트럼프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도 해고할 계획이 없다고 재확인한 점도 증시를 다시 끌어 올렸다.

23일(현지시간)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419.59포인트(1.07%) 상승한 3만9606.57, S&P 500 지수는 1.67% 상승한 5375, 나스닥 종합지수는 2.50% 상승하여 1만6708.05에 마감했다. 3대 지수들은 모두 이틀 연속 1% 넘게 올랐다.

이날 증시는 트럼프 발언에 고무됐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 대해 덜 대립적인 접근 방식을 취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중국 수입품에 대한 145% 관세는 "매우 높으며 (거래가 시작되면) 그렇게 높지 않을 것이며 상당히 낮아질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역시 미중 양국이 무역에서 "빅딜"을 할 기회가 있다며 "재균형을 원한다면 함께 하자"고 밝혔다. 전날에도 베선트 장관은 지금의 미중 무역갈등이 지속 불가능하다며 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백악관 관리를 인용하여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관세를 50~65% 사이로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중 무역협상의 물꼬가 트이면 트럼프가 상호관세 계획을 공개한 첫날 중국에 부과한 관세율인 54%(34+20) 수준에서 논의가 시작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가 미국 해방의 날이라고 명명하며 4월 2일 처음 공개한 중국 관세율은 34%였고 기존의 펜타닐과 불법이민 문제로 부과했던 20%를 더하면 54%다.

전날 트럼프가 2026년 5월 연준 의장 임기가 끝나는 파월을 해고할 의사가 "없다"고 확인한 점도 안도 랠리에 보탬이 됐다. 트럼프는 최근 파월 의장을 "중대 패배자"라고 부르며 금리 인하를 요구했던 것을 감안하면 큰 반전이다.

B 라일리 자산관리의 아트 호건은 AFP통신에 시장은 "무역에 대해 덜 부정적 뉴스"에 랠리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무역의 종착지는 어디인지 아무도 모른다고 그는 덧붙였다.

개별 종목 중에서 보잉은 2025년 상업용 항공기 생산량 증가 목표를 확인하면서 예상보다 적은 손실을 보고하면서 6.0% 상승했다. 테슬라는 엘론 머스크 CEO가 트럼프의 정부 효율성 부서에서 보내는 시간을 줄이겠다고 밝히면서 5.4% 상승했다. 다른 대형 기술 주식도 상승세를 보였다. 아마존은 4.3%, 페이스북 모기업인 메타는 4.0%, 마이크로소프트는 2.1% 올랐다.

shinkir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