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PGT에 '고마워', 전기 손실 유발한다?...오픈AI CEO "수천만 달러 낭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챗GPT를 사용할 때 '고마워', '수고했어', '제발' 등 공손한 말을 입력하는 것이 막대한 전력 소모를 유발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한 X(옛 트위터) 이용자는 "사람들이 챗GPT에 '고마워(thank you)', '부탁해(please)' 등을 반복 입력하면서 전기 비용이 얼마나 들었을지 상상도 안 된다"는 글을 올렸고, 이에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수천만 달러일 것이다. 정말 아무도 모를 것"이라고 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김주미 기자 ]
챗GPT를 사용할 때 '고마워', '수고했어', '제발' 등 공손한 말을 입력하는 것이 막대한 전력 소모를 유발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한 X(옛 트위터) 이용자는 "사람들이 챗GPT에 '고마워(thank you)', '부탁해(please)' 등을 반복 입력하면서 전기 비용이 얼마나 들었을지 상상도 안 된다"는 글을 올렸고, 이에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수천만 달러일 것이다. 정말 아무도 모를 것"이라고 답했다.
챗GPT는 'GPT-4o' 모델 기준으로 1회당 약 0.3Wh(와트시)가 소모된다. 특히 최근 인기를 끈 지브리 풍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는 1장당 약 3~5Wh가 시용되는데, 이는 스마트폰을 15~25분간 충전할 수 있는 전력이다.
따라서 챗GPT에 "고마워"를 입력하고 "제가 더 고맙죠"라는 공손한 답변을 계속해서 듣게 된다면, 이는 막대한 전력 사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난해 말 글로벌 미디어 그룹 '퓨처 PLC'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응답자의 67%, 영국 응답자의 71%가 AI를 이용할 때 "예의를 갖춘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I와 상호작용할 때 예의있게 대하는 이유로 '도덕적으로 옳기 때문'(미국 55%·영국 59%)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AI가 반란을 일으킬까 봐'(미국 12%·영국 12%)라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다만 '감사합니다', '부탁합니다' 등의 공손한 표현을 사용하면 AI로부터 더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커티스 비버스 마이크로소프트(MS) 디자인 매니저는 "AI 챗봇을 존중하면 협력적인 결과물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 KIZM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키즈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문수 "남녀 구분 없는 군가산점제 부활"
- 일시 무료 개방하는 국립수목원 3곳…다양한 문화행사 진행
- "학생, 돈 좀 빌려줘" 10대 여고생에 접근하는 男 '주의'
- 사용한 네스프레소 커피캡슐, 우체국이 수거…이용 방법은?
- 정청래, 안철수 향해 "뻐꾹뻐꾹~ 사람이길 포기하지 마세요" 무슨 일?
- 美 청소년 10명 중 9명 "난 000 쓴다!"
- "학교 쓰레기통서 네가 왜 나와?" 줄행랑 친 교장선생님
- 의도적인 무게 늘리기? 킹크랩 '얼음치기'가 뭐길래
- 추석 낀 9월 마지막주, 코로나 확진자 감소세 둔화
- '애국 먹방'은 바로 이것?...쯔양, 킹크랩 16인분 '순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