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체 내 형광 분자 최초로 근적외선 발광 설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백윤정 교수 연구팀은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낼 수 있는 오환형(5개의 고리를 가진 구조) 플라빈 분자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플라빈은 우리 몸 등 생체 내에서 전자 전달과 광반응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형광 분자다.
연구팀은 생체 내 플라빈을 이용해 적외선에 가까운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낼 수 있도록 설계, 인체 적합성과 기능성을 모두 갖춘 광소재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백윤정 교수 연구팀은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낼 수 있는 오환형(5개의 고리를 가진 구조) 플라빈 분자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플라빈은 우리 몸 등 생체 내에서 전자 전달과 광반응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형광 분자다. 대표적으로 비타민 B2(리보플라빈) 형태로 존재하며, 색소 특성을 바탕으로 빛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기능도 있다.
하지만 파장이 짧은 가시광선 일부 영역(파란색에서 초록색)의 빛만 낼 수 있어 긴 파장의 빛이 있어야 하는 질병 진단용 형광물질 등 의료용 광소재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생체 내 플라빈을 이용해 적외선에 가까운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낼 수 있도록 설계, 인체 적합성과 기능성을 모두 갖춘 광소재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세 개의 고리를 갖는 기존 플라빈 구조를 5개의 고리로 확장하고, 여기에 산소와 황 등 이종 원자를 도입하는 합성 전략을 제시했다.
황이 포함된 플라빈 구조체는 772㎚(나노미터·10억분의 1m) 길이의 근적외선 영역에서 발광하며, 이는 지금까지 보고된 플라빈 유도체 중 가장 긴 것이다.
특히 기존 플라빈에서 드물게 관찰되던 준가역적인 산화 특성(일정 조건에서는 전자를 주고받는 반응이 반복 가능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 전기화학적 기능까지 갖췄다.
독성물질이 특정 빛에 반응하도록 설계하거나 긴 파장의 빛을 흡수해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는 등 의료·환경·에너지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Nature Communications) 지난 15일 자로 실렸다.
jyou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하룻밤 사이 등장한 거대 조경석…입주민도, 누리꾼도 와글와글 | 연합뉴스
- "리모컨 위치 몰라?" 주먹이 앞선 남편…합의에도 처벌받은 이유 | 연합뉴스
- 의사엄마 근무중인 가자지구 병원…자녀들 불탄 시신으로 실려와 | 연합뉴스
- '찬물 욕조'서 의붓아들 숨지게 한 계모, 친자식은 불법 입양 | 연합뉴스
- "문형배 교수 임용 안돼"…옥중편지 보내고 대학앞 시위 예고 | 연합뉴스
- '유전자 등록제도' 덕분에…생이별한 남매, 45년 만에 상봉 | 연합뉴스
- 초등학교 3학년 때 사라진 아이, 36년만에 가족과 '극적인 상봉' | 연합뉴스
- 23년 동안 3번 음주운전한 경찰관…법원 "파면은 지나쳐" | 연합뉴스
- 아르헨서 착오 송금액 사용 놓고 논란…"신께서 준 선물인 줄" | 연합뉴스
- 항해사 깜빡 잠든 틈…노르웨이 주택 앞마당에 대형화물선 좌초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