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사상~하단선 대형 땅꺼짐 원인은 부실한 '시공 관리 소홀'
서영인 2025. 4. 22. 14: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9월 부산 사상∼하단 도시철도 2공구의 대형 땅 꺼짐이 집중호우 외에도 부산교통공사의 부실한 시공사 관리·감독 등에서 비롯됐다는 부산시 감사 결과가 나왔다.
부산시 감사위원회는 지난해 발생한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대형 땅 꺼짐 관련 특정 감사를 진행한 결과, 굴착 공사 과정에서 품질·안전·시공 관리에 과실이 있었고 위법 사항도 발견됐다고 22일 밝혔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9월 부산 사상∼하단 도시철도 2공구의 대형 땅 꺼짐이 집중호우 외에도 부산교통공사의 부실한 시공사 관리·감독 등에서 비롯됐다는 부산시 감사 결과가 나왔다.
부산시 감사위원회는 지난해 발생한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대형 땅 꺼짐 관련 특정 감사를 진행한 결과, 굴착 공사 과정에서 품질·안전·시공 관리에 과실이 있었고 위법 사항도 발견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감사는 지난해 10월 21일부터 11월 15일까지 20일간 부산교통공사와 시 철도시설과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감사위원회는 대형 땅 꺼짐이 379㎜에 달하는 집중호우와 더불어 차수 공사, 흙막이 가시설 공사 중 시공 관리 소홀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했다고 말했다.
감사 결과 건설사업관리단은 차수 품질시험 자격이 없는 하도급업체가 시험·작성한 품질시험 보고서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시공사에 굴착을 진행하도록 해 지하수와 토사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교통공사는 건설사업관리단에 부진 공정 대책을 수립해 제출하라고 지시만 하고 대책이 수립·이행되는지 제대로 지도·점검하지 않았다.
또 새로운 공법 적용이 어렵고 추가 예산 확보가 곤란하다는 이유로 상부에 공사 진행상 문제점을 보고하지 않는 등 건설사업관리 업무에 대한 지도·감독을 제대로 하지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시공사와 건설사업관리단은 차수 공사의 품질시험 성과 검토,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세부 안전관리계획 이행 등 시공 관리를 부실하게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감사위원회는 부산교통공사에 행정 조치 10건, 신분 조치 33건, 11억5천900만원의 설계 변경 감액 조치를 요구했다.
이어 지적 사항에 대해 시공사와 건설사업관리단에 벌점을 부과하라고 통보했다.
이 외에도 안전관리 전담 건설사업관리기술인 업무 수행 부적정, 사후환경영향조사 용역 보고서 작성 부적정, 설계·시공 방법 개선, 수정공정표에 따라 공정관리 철저 등을 지적하고, 관련자에게 '훈계·주의'를 요구했다.
부산교통공사는 해당 구간 땅 꺼짐이 집중호우로 발생했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공사 관계자는 "감사 결과에 따라 후속 조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은 2호선 사상역에서 1호선 하단역까지 총연장 6.9㎞에 7개 정거장 규모로, 2026년 말 개통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서영인 기자 igor_seo@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쿠키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대선 공약으로 나온 ‘복지부 쪼개기’…통합정책 vs 독립정책 [21대 대선]
- [단독] 막가는 벤츠 조사반, 또 셀프 면죄부…“국과수 감정 무시”
- “1mm 빗방울에 눈물바다”…안동 산불 속 마을 지켜낸 그들 [쿠키인터뷰]
- ‘尹 공약 미이행→김문수 공약’ 대상포진 백신 지원, 이번엔 실현될까
- 가맹점주에 ‘단체협상권’ 부여되나…프랜차이즈협회 대응책 골몰
- 고령·기저질환 있다면 고위험 임신 가능성…“정기적 산전 진찰 필요”
- 홍준표 “이준석 투표는 사표 아닌 미래를 위한 투자” [21대 대선]
- 트럼프 “EU 50% 관세 부과 7월 9일까지 유예”…경고 이틀 만에 변경
- “손정의, 美‧日 공동 국부펀드 제안…美재무와 직접 논의”
- 6월 1일부터 주택 임대차계약 신고 안하면 과태료 최대 30만원 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