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비상대책반 구성…“신속히 조사 추진”
정우진 2025. 4. 22. 11: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텔레콤이 19일 악성코드로 인해 고객 유심(USIM) 정보가 일부 유출된 것으로 의심되는 가운데 정부도 비상대책반을 구성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0일 오후 4시 46분 SK텔레콤으로부터 침해사고 신고를 접수하고, 피해현황 및 사고원인 조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이 19일 악성코드로 인해 고객 유심(USIM) 정보가 일부 유출된 것으로 의심되는 가운데 정부도 비상대책반을 구성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0일 오후 4시 46분 SK텔레콤으로부터 침해사고 신고를 접수하고, 피해현황 및 사고원인 조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21일 오후 2시 10분 SK텔레콤에 침해사고와 관련한 자료 보존 및 제출을 요구했다. 이어 사고 원인분석 및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21일 오후 8시부터 KISA 전문가들을 현장에 파견해 기술지원 중이다.
특히 과기정통부는 개인정보 유출 등 피해현황, 보안취약점 등 사고의 중대성을 고려해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을 단장으로 하는 비상대책반을 구성해 면밀한 대응에 나선다.
필요시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하고 심층적인 원인분석 및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추진할 방침이다. 통상적으로 비상대책반이 사안을 보고 심각하다고 판단할 경우 민관합동조사단이 꾸려진다. 조사단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6번 구성돼 평균적으로 약 1~2개월씩 운영된 바 있다.
사고 조사 과정에서 나오는 SK텔레콤의 기술적, 관리적 보안 문제점에 대해 시정명령을 통해 개선하도록 할 예정이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국민 생활 밀접 정보통신 시설·서비스에 대한 정보보호가 강화될 수 있도록 주요 기업·기관에 대한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우진 기자 jwj3937@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쿠키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이재명 “당선시 즉시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대응TF’ 구성” [21대 대선]
- 윤여준, 사법흔들기 비판에 “톤다운 될것”
- SKT, 일일 유심 교체 고객 누적 417만명 돌파
- LGU+, 해킹사고 SKT “집단소송 무료대행” 홍보문자 ‘눈살’
- 현대제철 노사, 내달 임단협 돌입…두 달 만에 다시 마련될 테이블
- 배달앱 ‘입법규제’ 논의에 긴장하는 업계…입점업체 갈등 지속
- 토론 내내 자질 검증…연금·의료개혁 ‘기싸움’ [21대 대선]
- AI 대화로 위로받는 사람들…“의존은 지양해야”
- 중앙선관위, 내일부터 나흘간 대선 선상투표…454척·3051명 대상
- 만족 없는 ‘KT 반전 주역’ 퍼펙트 “못한 것만 생각나” [쿠키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