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 선종…“성부의 집으로 돌아간 성자”

최지혜 2025. 4. 21. 17: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난한 이들의 성자'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 선종했다.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교황청은 이날 프란치스코 교황이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케빈 패럴 교황청 평신도가정생명부 장관은 "오늘 아침 7시 35분, 로마의 프란치스코 주교님께서 성부의 집으로 돌아가셨다. 그의 전 생애는 주님과 교회를 섬기는 데 헌신했다"고 말했다.

한편 프란치스코 교황은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2월부터 폐렴 진단받고 한 달 넘게 입원해 치료받아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 선종했다. 향년 88세. [사진=AP 연합뉴스]

'가난한 이들의 성자'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 선종했다. 향년 88세.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교황청은 이날 프란치스코 교황이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2013년 266대 교황에 선출돼 교황직을 수행한 지 12년 만이다. 케빈 패럴 교황청 평신도가정생명부 장관은 "오늘 아침 7시 35분, 로마의 프란치스코 주교님께서 성부의 집으로 돌아가셨다. 그의 전 생애는 주님과 교회를 섬기는 데 헌신했다"고 말했다.

앞서 교황은 2월 14일부터 기관지염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입원 치료를 받아왔다. 이후 폐렴을 진단받는 등 건강 상태가 급속히 나빠졌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구촌 곳곳에서 교황의 회복을 기원하는 기도회가 열리기도 했다.

교황은 38일간 입원 치료를 마치고 퇴원한 뒤 산소마스크를 쓰고 휠체어에 앉아 공개 일정을 수행했다. 전날인 20일에는 바티칸 성베드로 대성당 2층 발코니에 나타나 성베드로 광장에 모인 신도들을 향해 "부활절을 축하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하지만 끝내 고비를 넘기지 못했다.

한편 프란치스코 교황은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즉위 다음 해인 2014년 8월 한국에 방문해 세월호 참사 희생자를 위로하기도 했다. 교황의 방한은 1989년 요한 바오로 2세 이후 25년 만이었다.

감기와 비슷한 증상 나타나는 폐렴, 위험한 이유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앓던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병원체에 폐포(폐의 공기 주머니)가 감염돼 염증이 생기는 병이다. 가장 흔한 형태인 세균성 폐렴은 폐렴구균이 주요 원인균이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독감 바이러스, 코로나19,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등이다. 독감에 걸린 뒤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폐렴으로 쉽게 발전한다. 곰팡이성 폐렴은 히스토플라스마 등 감염이 흔하다. 암 환자, 장기 이식 환자 등 면역 저하자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폐렴이 진행되면 환자는 초기에 감기나 독감 등과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체온이 38℃ 이상 오르면서 오한이 동반된다. 심한 기침, 가래 등 증상도 나타난다. 이때 가래의 색깔은 노랗거나 탁하다. 폐에서 산소 교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에 숨이 차는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환자는 깊은 숨을 들이마시거나 기침할 때 가슴 통증을 겪기 쉽다.

폐렴이 위험한 이유는 자칫하면 패혈증으로 이어져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나이가 많을수록 더욱 치명적이다. 실제 프란치스코 교황을 치료하던 의료진은 교황이 고령인 점, 신체적 허약함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위험한 상황은 감염이 혈류로 확산하는 패혈증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젊고 건강한 사람도 패혈증 주의해야

패혈증은 미생물 감염에 대한 전신적인 반응이다. 오한, 고열, 저체온증, 두통, 권태감 등이 나타나면서 치료 시기를 놓치면 주요 장기의 기능이 떨어져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노인을 비롯 영유아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이유다. 물론 젊고 건강한 사람이라도 폐렴을 가볍게 여겨선 안 된다.

폐렴을 막으려면 65세 이상, 면역 저하자는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하는 게 좋다. 매년 독감 백신을 맞아 인플루엔자에 의한 폐렴을 막는 것도 중요하다. 손 씻기, 마스크 착용, 기침 예절 준수, 음식 덜어먹기 등도 바이러스 감염을 막는 데 도움된다. 면역력을 위해 균형잡힌 식사와 적절한 수면, 충분한 휴식도 필요하다.

최지혜 기자 (jhchoi@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