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스마트폰 '광고 덫'…샤오미 일일 '푸쉬 광고' 16건 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샤오미가 중국 현지 스마트폰 제조자 중 가장 많은 일일 푸쉬(Push) 광고를 내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드파티(제3자)앱을 스마트폰에 선(先)탑재해 광고 수익을 내는 방식도 가장 높은 순위로 확인됐다.
푸쉬 앱 광고는 노출 빈도에 따라 앱 제작사가 일정 금액을 스마트폰 제조사에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삼성전자 갤럭시와 애플 아이폰에는 서드파티 선탑재 앱과 앱 푸쉬 광고가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샤오미가 중국 현지 스마트폰 제조자 중 가장 많은 일일 푸쉬(Push) 광고를 내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드파티(제3자)앱을 스마트폰에 선(先)탑재해 광고 수익을 내는 방식도 가장 높은 순위로 확인됐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 서브 브랜드 레드미(홍미)는 중국 현지 사용자들에게 하루 평균 16.7건의 푸쉬 광고를 내보내고 있다. 이어 비보(12건), 샤오미 일반 브랜드(8.7건), 오포(5건), 화웨이(2건) 순이었다.
제조사들의 푸쉬 광고는 단순 시스템 알림 서비스가 아닌 쇼핑몰 내 상품, 이벤트, 추천 앱 등 상업적 성격이 짙은 콘텐츠가 대부분이다. 제조사 별 같은 계정을 활용하더라도 보다 저렴한 서브 브랜드에서 광고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소백 평가라는 한 중국 IT 테크 유튜버는 이같은 결과를 공유하며 “화웨이와 아너는 푸시 광고가 많이 줄었다”며 “홍미는 가격이 올라간 만큼 광고도 함께 늘어났다”고 평가했다.
광고 형태는 날씨, 검색 등 기본 시스템 앱 내부에도 존재했다. 샤오미와 레드미 제품은 기본 검색에 광고성 추천이 포함돼 있었다. 날씨 앱 등 사용자가 직접 접속하는 부분에도 광고가 띄워졌다. 화웨이를 제외한 모든 제조사 OS에는 상품이나 이벤트 광고 등 상업 광고를 노출했다.
제조사별 서드파티 선탑재 앱 수도 많은 차이가 났다. 테스트에 포함된 모델 중 화웨이 운용체계(OS) 하모니OS NEXT 기기에 들어간 서드파티 선탑재 앱은 9개에 불과했다. 반면 샤오미는 24개, 레드미는 19개, 오포는 21개, 아너는 20개 앱에 달했다. 서드파티 선탑재앱은 앱스토어 같은 필수 앱이 아닌 틱톡 등 다른 사업자 앱을 의미한다.
중국 제조사들의 이같은 전략은 광고 수수료를 활용한 매출 확대 전략으로 풀이된다. 스마트폰 제조사가 앱 설치를 대가로 제휴 업체로부터 일정한 이익을 얻으며 매출을 늘리는 것이다. 푸쉬 앱 광고는 노출 빈도에 따라 앱 제작사가 일정 금액을 스마트폰 제조사에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선탑재 앱은 사용자가 직접 지울 수 있는 구조이지만, 삭제하기에 품이 들고 새 제품이라는 인상을 받기 어려워 사양 되는 문화”라면서 “다만 확실한 매출처를 확보할 수 있기도 하다”고 말했다. 실제 삼성전자 갤럭시와 애플 아이폰에는 서드파티 선탑재 앱과 앱 푸쉬 광고가 없다.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범 6개월' 실손24, 여전히 부족한 참여 병원에 발목
- 삼성디스플레이, 美서 BOE 추가 제소…“OLED 특허 4건 침해”
- LGU+, 알뜰폰 후불망 선두 굳혔다
- 中 스마트폰 '광고 덫'…샤오미 일일 '푸쉬 광고' 16건 최다
- 위메이드, 中게임사와 20년 IP 분쟁... 못받은 배상금만 8400억원
- 현대차, 日 전기 상용차 시장 진출…이와사키그룹에 '일렉시티 타운' 5대 인도
- [대한민국 과학자] 조광연 KICET 수석연구원 “SiC 섬유로 우주항공산업 넘어 국가안보에 이바지”
- [대선 D-43] 국힘 경선 4강 '막차' 누가 타나…TK 집중 공략·공약 '총력전'
- 4대 금융지주 밸류업 '반짝'···상생금융 '조기 등판' 변수로
- 한·미 통상협의 24일 개시…무역수지·조선·LNG 등 '줄다리기'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