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콜라 웃고 펩시 울고…트럼프 관세에 희비 교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발 관세가 콜라 시장 판도까지 뒤흔들고 있다.
펩시콜라 농축액 대부분이 아일랜드에서 생산되는데 10% 상호관세를 적용받으면서 코카콜라보다 경쟁력이 크게 떨어진 데 따른 것.
미국에서 판매되는 펩시 콜라 농축액의 거의 대부분이 아일랜드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10%의 관세가 매겨졌기 때문.
펩시가 관세 국면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며 미국 콜라 시장 점유 순위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의 대표적인 콜라 펩시가 트럼프 발 관세로 위기에 놓였다고 20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펩시코는 낮은 법인세율 혜택을 받기 위해 1974년 아일랜드에 콜라 농축액 공장을 처음 지었다. 아일랜드에서 농축액을 생산해 미국 내 병입 공장으로 운송한 뒤 물, 탄산, 감미료 등과 혼합해 콜라 완제품을 만드는 방식이다.
50여 년 전 법인세를 덜 내려고 내렸던 결정이 트럼프 행정부 취임 이후 직격탄이 됐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펩시 콜라 농축액의 거의 대부분이 아일랜드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10%의 관세가 매겨졌기 때문. 반면 라이벌인 코카콜라는 역시 아일랜드에 일부 농축액 공장이 있으나, 미국 내수용 농축액은 애틀랜타와 푸에르토리코에서 생산해 상대적으로 타격을 입지 않았다.
펩시가 관세 국면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며 미국 콜라 시장 점유 순위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30년 동안 미국 내 탄산음료 시장 1위는 줄곧 코카콜라가 차지했다. 1995년 이후 17~20%대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다. 반면 펩시 점유율은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다. 1995년 15%에서 2023년에는 8.31%로 떨어지며 미국 큐리그 닥터페퍼사의 ‘닥터페퍼’(8.34%)에게 점유율 2위 자리를 내어주는 수모를 겪었다.
‘MZ세대’의 취향을 공략해 2005년부터 꾸준히 점유율이 상승한 닥터페퍼는 역시 농축액 공장이 미국 등 북미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번 관세 부과에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HSBC 애널리스트 카를로스 라보이는 WSJ에 “관세가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는 불확실하지만, 펩시는 현재 분명히 불리한 입장에 있다”고 분석했다. 펩시코는 미국 텍사스, 우루과이, 싱가포르 등에서도 농축액을 생산하지만 미국 내 생산·공급망을 어떻게 재편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결정에도 미 탄산음료 업계 전체가 영향 입을 가능성이 있다. CNN 등에 따르면 제임스 퀸시 코카콜라 최고경영자(CEO)는 캐나다에서 탄산음료 캔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일부를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콜라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퀸시 CEO는 플라스틱 포장재를 사용하거나, 미국산 알루미늄을 조달하는 등 대체 방안을 찾고 있다고 했다.
최지선 기자 aurink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봉천동 ‘농약살포기 방화’ 추정…용의자, 불낸 집 아래층 살았다
- [천광암 칼럼]아무 일 없었다는 듯 청와대로 돌아가면 될까
- 尹측 “의원 끌어내기 가능한가” vs 조성현 “명확한 지시 받았다”
- 이재명, ‘더 세진’ 상법개정안 재추진 공식화…“코스피 5000시대 열것”
- “정권교체 요구 늘어” vs “反이재명 여론 뭉칠 것”…‘95표차’ 초격전지 울산 북구 민심은[
- 코카콜라 웃고 펩시 울고…트럼프 관세에 희비 교차
- 권영세 “국회 세종 시대 열 것…여의도 부지는 국민 환원”
- 韓 대행 “24일 밤 9시 한미 2+2 통상협의 개최”
- 공군 “기관총 낙하, 조종사가 히터 조절하려다 버튼 잘못 눌러”
- 美국방, 아내·형 등 지인 단톡방에도 후티 공습계획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