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를 광장으로, 국회를 세종으로”.. 국민의힘, 대선 앞 ‘정치 중심 이전’ 승부수
“정치의 지형 자체를 바꾸겠다.”
국민의힘이 국회 세종시 이전과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을 동시에 추진하며, ‘여의도 정치 시대’의 종식을 공식화했습니다.
대선을 40여 일 앞두고 나온 이 선언은 단순히 이전 계획만이 아닌, 정치권력의 공간 자체를 전면 재배치하겠다는 강수로 해석됩니다.
■ “여의도는 끝났다”.. 국회 이전 공론화, 선거 국면 속 본격화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1일 비대위 회의에서 “국민의힘은 낡은 정치의 상징이 되어버린 여의도 국회 시대를 끝내고, 국회 세종 시대의 문을 열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방향 제시를 넘어, 구체적인 실현 계획까지 포함한 것으로, 여의도 국회의사당을 시민에 환원하는 ‘국민환원 추진위원회’ 신설 계획도 함께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여의도는 ‘정치의 진지’가 아닌 ‘시민의 광장’으로 재설계하고, 청년과 미래세대가 자유롭게 이용하는 열린 공공 공간으로 탈바꿈한다는 구상입니다.
■ 동시에 ‘세종 제2집무실’ 발표.. 정치·행정 일원화 속도낼까
국회 이전 구상과 함께, 세종에 대통령 제2집무실을 공식화한 점도 눈에 띕니다.
권 위원장은 “기득권을 내려놓고 정치의 물리적 중심을 바꾸겠다”라며 “효율적인 국가 운영을 위해 결단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세종 제2집무실 건립은 지난 총선 당시 국민의힘 공약이기도 합니다.
당시에도 ‘행정수도 완성’과 국정 운영 효율성을 이유로 내세웠지만, 윤석열 정부 출범 후엔 사실상 동력이 약화된 상태였습니다.
이번 발언은 정치권력이 세종으로 내려가는 상징적 복원과도 연결됩니다.
■ 여의도는 ‘폐쇄’, 세종은 ‘개방’., 물리적 공간 재배치는 곧 정치 재구성
여의도를 비우고, 세종을 채우는 이번 시도는 공간의 물리적 이동 그 이상입니다.
정치의 물리적 중심지를 옮긴다는 건, 권력의 습관과 시스템 자체를 뜯어고치겠다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20여 년간 표류한 행정수도 이전 담론이 본격적으로 종착점을 향하고 있다”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특히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 이전이 병행될 경우, 세종의 행정 중심성은 사실상 ‘완성’ 국면으로 진입하게 됩니다.
■ “지방분권” vs. “정치 쇼” 논란도.. 대선 앞 ‘공간정치’ 재점화
다만 민주당은 “선거용 이벤트일 뿐”이라며 경계심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한 관계자는 “정치 중심지 이전은 국가 비전과 법률 개정이 필요한 사안인데, 공론화 없이 일방 발표로 몰아가고 있다”라고 반발하기도 했습니다.
사실 국회 세종 이전은 2012년부터 논의되어 왔고, 2020년에는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법이 통과됐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구체적인 예산과 설계, 본회의 기능 이전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비한 상태입니다.
■ ‘상징’ 아닌 ‘실행’ 될 수 있을까.. 총선 공약 → ‘대선 드라이브’로
국민의힘은 이번 선언이 단순 공약이 아닌 ‘이행 단계’에 진입했다고 강조합니다.
실제로 총선을 앞둔 세종·충청권 민심을 겨냥한 의미도 분명해 보입니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세종 의사당이 설계비만 남은 상황에서, 여의도 전체를 국민에게 환원하겠다는 구상은 결단이자 승부수”라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국회의사당 이전과 관련한 법률 개정, 본회의 상징 기능 이전에 대한 여야 합의는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로 꼽힙니다.
더불어 여의도 공간 재구성은 서울시, 국토부, 국회 사무처 등 복수의 기관 협의도 필요합니다
■ 정치, 공간을 옮기는 순간.. “권력의 방향도 함께 이동한다”
국민의힘이 여의도를 ‘비우고’, 세종을 ‘채우려는’ 이번 구상은 장소 이동이 아닙니다.
이는 정치의 상징과 구조, 권력의 동선 자체를 재편하려는 움직임에 가깝습니다.
그 결단이 선언에 그칠지, 아니면 실질적 제도 개편과 공간 재배치로 이어질지는 이제부터의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정치 중심축의 이동은 말이 아닌 실행의 문제이며, 그 시험대는 대선과 국회의 선택 앞에 놓인 탓입니다.
향후 세종 시대를 열겠다는 구상이 ‘이전’이 아닌 ‘이행’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그 향방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