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썸·KFC·버거킹, 최대 실적에도 가격 인상…"소비자 부담 증가"
김수형 기자 2025. 4. 20. 12: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6월에 이어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두 번째 인상에 나선 겁니다.
KFC는 홈페이지를 통해 가격 인상 사실만 알리고, 구체적인 대상과 폭은 공개하지 않아*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기도 했습니다.
버거킹도 설 연휴를 하루 앞둔 지난 1월 24일 일부 메뉴 가격을 100원씩 인상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정부 지원만 받고 가격을 올리는 것은 불공정"이라며, "재무제표 분석을 통해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투썸플레이스 매장
커피, 버거, 치킨 등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잇따라 메뉴 가격을 인상하면서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업체들은 비용 상승을 이유로 들고 있지만, 작년에 최대 실적을 기록한 만큼 비용 전가 논란도 커지고 있습니다.
외식업계에 따르면, 디저트 카페 투썸플레이스는 지난달 26일 케이크, 커피 등 58개 메뉴의 가격을 평균 4.9% 인상했습니다.
대표 메뉴인 '스초생(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은 2천 원 올라 3만 9천 원이 됐고, 레귤러 사이즈 커피 23종도 200원씩 인상됐습니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당부한 지 한 달 만에 가격 인상이 단행되면서, 시점도 도마에 올랐습니다.
치킨 프랜차이즈 KFC는 이달 8일, 치킨과 버거 등 일부 메뉴 가격을 100~300원 올렸습니다.
지난해 6월에 이어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두 번째 인상에 나선 겁니다.
KFC는 홈페이지를 통해 가격 인상 사실만 알리고, 구체적인 대상과 폭은 공개하지 않아*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기도 했습니다.
버거킹도 설 연휴를 하루 앞둔 지난 1월 24일 일부 메뉴 가격을 100원씩 인상했습니다.
대표 메뉴 와퍼는 단품 기준 7천200원, 세트는 9천200원이 됐습니다.
업체들은 모두 원자재와 제반 비용 상승을 이유로 들고 있지만, 작년 실적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투썸플레이스는 2023년 매출 5천201억 원, 영업이익 327억 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8.3%, 25.2% 늘었습니다.
KFC 코리아는 영업이익이 무려 469% 급증한 164억 원, 매출도 2천923억 원으로 17.7% 증가했습니다.
버거킹 운영사 BKR도 매출 7천927억 원, 영업이익 384억 원으로 각각 6.4%, 60.4% 증가했습니다.
정부도 외식업계의 가격 인상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외식업 경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커피와 코코아의 부가가치세 면세, 농산물 할당관세, 자금 지원 등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정부 지원만 받고 가격을 올리는 것은 불공정"이라며, "재무제표 분석을 통해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김수형 기자 sean@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BS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토허제 '한 달 해제'…1분기 아파트값 상승 송파구가 전국 1위
- 친구에게 돌 던진 초등생…법원 "학생·부모 2천200만 원 배상"
- "마약 먹였고, 욕조에 넣었다 뺐다 했다" 결정적 제보…발바닥 대칭 상처의 의미는?
- '대위 김민우·초밥 90인분 노쇼 사기' 영세 상인들 울려
- 미국발 세계경제 혼돈에 금 거래대금 4.4배 급증…"금값 더 뛴다"
- '똥물 수첩' 속 그놈들…게임장서 행패부려 1억 뜯어낸 44명 검거
- '고공행진' 카드론 금리 평균 15% 육박…레고랜드 사태 후 최고치
- "빌려준 돈 갚아" 지인 살해 70대 중국인…2심도 징역 15년
- '악성 미분양' 또 증가해 2만 4천가구…11년 5개월 만에 최대
- "우는 소리 나더니" 남성 실명 위기…여자친구 긴급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