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샀어야 했는데”···올랐는데 또 오른다
달러 패권 위협받자 금 선호도 ↑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4월 16일(현지 시간) 장중 국제 금값이 온스당 3350달러(약 475만원)를 뚫고 역대 최고가 기록을 새로 썼다. 이날 금 현물 가격은 전날보다 3.6% 올라 온스당 3338.43달러에 거래됐다. 금 선물은 뉴욕상품거래소에서 하루 사이 3.3% 뛴 온스당 3346.4달러에 거래됐다. 금 선물도 올 들어 27% 치솟아 역대 최고가다.
미국 투자은행(IB)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를 통해 “금 선물 거래량이 ‘매그니피센트세븐(M7)’을 제치고 월가에서 가장 붐비는 거래에 등극했다”고 진단했다. M7은 애플, 아마존, 알파벳 등 미국 7대 대형 기술주를 뜻한다. 이어 BoA는 “펀드매니저 상당수가 무역 전쟁에 따른 경기 침체를 가장 큰 리스크로 꼽았다”며 “(이들은) 미국 주식 비중을 크게 줄이는 한편, 금이 올해 최고의 투자자산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고 밝혔다.
통상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짙을 땐 금과 달러가 함께 오르지만, 이번엔 달러가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금값이 더 뛰는 이례적 현상을 보인다. 여기엔 트럼프가 방아쇠를 당긴 관세 전쟁으로 기축통화로서 달러 지위가 위협받을 수 있단 우려가 반영됐단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금값 고공행진이 이어질 것으로 본다. 팀 워터러 KCM 트레이드 수석분석가는 “달러 약세와 지속적인 위험 회피 심리 등 여러 요인이 금 가격 상승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올 연말 금이 트로이온스당 3700달러로 상승할 것으로 봤고 내년 중반엔 4000달러를 찍을 것으로 전망했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불확실성 ‘피난처’인 동시에 인플레이션(물가) 헤지 수단,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까지 모든 상황이 금값에 유리하게 작용한다”며 “금값은 연내 온스당 36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봤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세종 천도설에 부동산·증시 들썩...‘불나방’ 몰려든다 - 매일경제
- [단독]소외된 롯데팬 위한 크보빵 ‘롯데’버전 나온다... 세븐일레븐 PB출시 - 매일경제
- “자기야, 이러다 15억도 못 받겠어”...집주인 ‘한숨’ [김경민의 부동산NOW]
- 美 FDA “‘통영 굴’ 절대 먹지 마라”...판매 중단·회수, 왜? - 매일경제
- 구멍 뚫린 실업급여...취업·퇴사 반복해 1억 타기도 [국회 방청석]
- “입주민끼리 사돈 맺자” 맞선 주선하는 초고가 아파트 ‘원베일리’
- “尹부부, 관저에서 뭘 했길래”…7일간 물 ‘228톤’ 썼다 - 매일경제
- 성전환한 머스크 아들, 트럼프 이기자 “미국 떠나겠다” - 매일경제
- 임신·출산 최적기는 언제?…40대 이상 조산 위험 급증
- “5400만원 버킨백, 원가 190만원”…관세전쟁에 中 폭로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