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원가' 폭로 통했나…미국인들 '우르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트럼프발 관세 폭탄으로 물가 인상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에서 중국의 쇼핑 앱이 인기를 얻고 있다.
17일 블룸버그통신과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 등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글로벌 전자상거래 앱인 DH게이트가 최근 미국 앱스토어에서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 2위를 차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휘경 기자]
트럼프발 관세 폭탄으로 물가 인상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미국에서 중국의 쇼핑 앱이 인기를 얻고 있다.
17일 블룸버그통신과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 등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글로벌 전자상거래 앱인 DH게이트가 최근 미국 앱스토어에서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 2위를 차지했다.
쇼핑 분야에서는 DH게이트가 1위, 타오바오 2위, 알리바바가 4위를 기록하는 등 중국의 글로벌 전자상거래 앱이 상위권을 휩쓸었다.
DH게이트의 경우 순위가 급등했다. 전월 대비로는 다운로드 수가 800%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DH게이트의 물류 파트너사인 중국통운국제물류의 주가도 전날 상하이 증시에서 10% 상승해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중국계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 등에서 중국 공장 관계자들을 동원한 유명 브랜드 제품의 원가 폭로 영상이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145%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추가 부과하면서 미·중 갈등이 깊어지는 와중에 이런 영상들이 일제히 등장하면서 중국 측이 민간을 동원한 여론전을 벌이는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들 영상 속 크리에이터들은 수천만원에 달하는 명품 가방인 에르메스 버킨백의 원가가 200만원에 불과하다거나 운동복 브랜드 룰루레몬의 레깅스가 미국에서는 100달러에 넘게 팔리는데 중국 공장에서는 5∼6달러에 생산된다고 주장했다.
폭로 영상을 올린 계정들은 미국인에게 중국에서 '직구'(온라인으로 직접 구입)하라고 홍보했다.
이에 대해 워싱턴포스트(WP) 등 미국 언론은 "중국 도매상과 직접 거래는 사기 위험에 노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세를 피할 수도 없다"며 미국 소비자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