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교 포화 직전…“특별 교실이 없어요”
[KBS 부산] [앵커]
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공부할 특수학교는 포화 직전인 상황으로까지 내몰리고 있습니다.
입학을 희망하는 장애 학생이 늘어도 학생들이 공부할 특별활동 교실마저 부족한 실정입니다.
보도에 장성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체와 발달 장애 학생을 가르치기 위해 2003년에 문을 연 부산 솔빛학교입니다.
개교 당시보다 학급 수는 35학급으로 늘었고 학생 수는 190여 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장애 학생 수가 늘다 보니, 학교 내 특별활동 교실은 쪼그라들었습니다.
미술실과 직업 교육실은 공간을 쪼개 마련해서 협소합니다.
교육 재료와 장비를 둘 공간조차 마땅찮습니다.
[이현지/학부모 : "특수학교는 해마다 학생 수가 늘어나다 보니까, 학급 수가 늘어나는데, 환경적으로 요건이 안 돼서 많이 힘들었습니다."]
장애 학생들에게 필요한 특별활동 장소인 감각 운동실과 실내 동적공간.
이마저도 충분히 갖추지 못했습니다.
[김을집/솔빛학교 교장 : "장애 특성이나 능력에 따라서 맞춤형 교육을 해야 하는데, 그런 특별교실이 없어져서 우리 아이들의 교육의 질이 열악해지는…."]
부산지역 특수학교는 모두 15곳입니다.
대부분, 장애 학생 입학이 늘어 특별활동 교실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부산지역 특수학급의 과밀학급 비중은 7.1%.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습니다.
[최성욱/부산시교육청 장학관 : "특수학교의 분교라든지, 병설이라든지, 소규모 특수학교라든지, 이렇게 특수학교의 설립을 다양화하는 방안에 대해서…."]
부산시교육청은 앞으로 특수학교 5곳을 신설해 2030년까지 모두 20곳을 운영한다는 계획.
그전까지 특수학교 포화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KBS 뉴스 장성길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영상편집:전은별/그래픽:김소연
장성길 기자 (skjang@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트럼프 ‘원스톱 쇼핑론’ 우리에겐 함정일 수도…전문가 인터뷰 [이런뉴스]
- [단독] ‘반얀트리 화재’ 기장군청 공무원 4명 피의자 전환 입건
- 누가누가 ‘말 절제’ 잘 하나…“한동훈씨는 나보다 더 했네!” [지금뉴스]
- “모병제로 바뀌나요?” 질문에 이재명 “제 생각은…” [현장영상]
- “윤 어게인 신당 창당”…공보방 비밀번호는 1203 [지금뉴스]
- 이국종 발언 화제되자 ‘이과생’ 안철수·이준석 “내가 적임자” [지금뉴스]
- ‘퇴임 D-1’ 대학강연서 탄핵심판 소회 밝힌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 [지금뉴스]
- 국회에 군인? “이제 퇴실입니다”…비상계엄 후속조치 [이런뉴스]
- ‘먹어도 되나요?’…제주 해수욕장 뒤집은 ‘미역 소동’
- [영상] “레알 나가신다” 미드처럼 출정했는데…‘준결승’ 좌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