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AI 이용해 자연에 없는 효소 설계 가능성 제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효소를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상엽 교수는 "AI 기반 효소 예측·설계 기술 발전은 앞으로 바이오산업과 생명공학 연구의 방향성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효소를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했다고 17일 밝혔다.
효소는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반응을 촉매하는 단백질이다.
새로운 효소의 기능 규명은 미생물 세포공장(세포의 유전자를 조작해 화합물을 대량으로 만드는 미생물 기반 생산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과제다.
연구팀은 합성곱 신경망, 순환 신경망, 그래프 신경망, 트랜스포머 기반 대규모 언어 모델 등 다양한 AI 기법이 효소 기능 예측 연구에 활용된 사례를 정리하고, 이들 기술이 단백질 서열에서 어떻게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예측 성능을 극대화하는지 분석했다.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단순한 아미노산 서열 유사성 분석을 넘어 구조적·진화적 정보 등 서열에 내재된 효소의 촉매 기능과 관련된 중요한 특성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생성형 AI 모델 발전을 토대로 기존의 효소 기능 예측을 넘어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기능을 가진 효소를 생성하는 기술이 미래 연구 방향이 될 것으로 제시했다.
이상엽 교수는 "AI 기반 효소 예측·설계 기술 발전은 앞으로 바이오산업과 생명공학 연구의 방향성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논문은 국제 학술지 '생명공학 동향' (Trends in Biotechnology) 지난달 28일 자에 실렸다.
jyou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건강포커스] "3·4기 암 환자도 금연하면 흡연 시보다 평균 330일 더 산다" | 연합뉴스
- [팩트체크] 추석 '7일 황금연휴' 끝…장기 연휴 언제 또 오나 | 연합뉴스
- '세기의 이혼소송' 최태원-노소영, 대법원 판결 '카운트다운' | 연합뉴스
- 야산에 버섯 따러 간 60대 2명, 연락두절 15시간 만에 구조 | 연합뉴스
- 전남도 산하기관 직원 숨진 채 발견…타살 혐의점 없어 | 연합뉴스
- 옛 회사 대표 아내 상대 강도짓 40대, 14년 만에 '죗값' | 연합뉴스
- "한국인 활동가, 이스라엘 사막 교도소 수감…가혹한 환경" | 연합뉴스
- "난 술 먹고 운전 가능"…사망사고 낸 뻔뻔한 운전자 결국 중형 | 연합뉴스
- 에어컨 실외기 타고 침입해 전 여친 성폭행한 일본인 구속 | 연합뉴스
- 김건희 의혹 다룬 '김현정 뉴스쇼' 방통위 제재 "위법"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