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노조, 모빌리티 매각 반발 예고…“약탈적 자본에 공적자금 투입 안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카카오의 핵심 계열사 매각설이 잇따르는 가운데 카카오 노동조합이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논의에 대해 강한 반대를 예고했다.
카카오 노조인 크루 유니언은 오는 17일 서울 영등포구 산업은행 본점에서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크루 유니언은 카카오모빌리티의 매각 자체의 반대는 물론 사모펀드에 공적자본 투입은 더욱 불가하다는 입장으로 전방위 대응을 예고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의 핵심 계열사 매각설이 잇따르는 가운데 카카오 노동조합이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논의에 대해 강한 반대를 예고했다.
카카오 노조인 크루 유니언은 오는 17일 서울 영등포구 산업은행 본점에서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크루 유니언은 이날 “카카오모빌리티의 투자자인 사모펀드 TPG 컨소시엄은 지속적으로 지분 매각을 시도하고 있으며 최근 VIG 컨소시엄에서 유력 인수 후보로 인수 작업을 조율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VIG는 단순 재무적 투자자(FI) 지분 인수를 넘어 카카오의 지분을 포함한 50% 이상의 경영권 확보를 희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크루 유니언은 이어 “VIG 자체 자금 동원력의 문제로 산업은행과 신한은행 등이 주선사로 참여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면서 “이익만을 좇는 약탈적 사모펀드의 플랫폼 기업 인수에 산업은행의 공적자본이 투입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카카오모빌리티의 최대 주주는 카카오(57.2%)로 TPG 컨소시엄(24.51%), 칼라일(6.17%) 등이 주요 주주로 참여한다. 하지만 최근 카카오모빌리티 현재 FI 지분(약 40%)을 중심으로 매각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보도가 잇따랐다. VIG파트너스가 유력 인수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이에 대해 카카오 노조는가 매각 논의 정황을 확인했다면서 본격적으로 대응에 나선 것이다.
크루 유니언은 카카오모빌리티의 매각 자체의 반대는 물론 사모펀드에 공적자본 투입은 더욱 불가하다는 입장으로 전방위 대응을 예고했다. 크루 유니언은 “가용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매각을 저지할 것”이라면서 “각 정당에도 사모펀드에 공적자본 투입이 적절한지에 대해 질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지난해부터 인공지능(AI)으로 사업을 재편하면서 비핵심 계열사 매각에 집중하고 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지분 매각을 검토하고 있고, 카카오 모빌리티는 FI 지분 매각을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 VX는 연내 매각할 계획이라고 공시했다. 포털 다음의 분사 또한 공식화했다. 노조는 이에 대해 반대 입장을 이어가고 있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엔비디아 'H20' 中 수출 제한…“1분기 55억달러 손실 불가피”
- [유리기판 테크데이] 삼성전기 “반도체 유리기판 생태계 만들겠다”
- [단독] 카카오페이, 마이데이터 기반 '보험DB' 제공한다
- 국회 산자위 의원들 '지역채널커머스' 기습 법제화 추진…홈쇼핑 업계 '우려'
- [뉴스줌인]공공 SW사업, 적정대가 현실화 시급
- 주7일 배송 시장 안착…홈쇼핑부터 패션플랫폼까지 연이어 도입
- 美 국세청 직원 '3분의 1' 해고 칼바람...“쉬워진 탈세에 세수 감소”
- 한의약 표준 EMR 구축 속도…임상정보 수집 착수
- “올여름은 4~11월”…'에어컨' 판매戰 이미 시작됐다
- 롯데바이오로직스, ADC CDMO 전면전…글로벌 수주전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