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전자제품, 관세 면제 아니다"...'관세전쟁 계속' 강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상호관세 부과 대상 품목에서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을 제외하겠다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자제품에도 다른 방식으로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예외로 두자, 미국 언론과 정치권에선 애플 등 일부 빅테크 기업만 특혜를 준 것이란 비판 여론이 커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악으로 대하는 중국 봐주지 않을 것"
상호관세 부과 대상 품목에서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을 제외하겠다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자제품에도 다른 방식으로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을 반박하고 관세 정책을 계속해서 밀고 나가겠다는 입장까지 재확인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지난 금요일(4월 11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exception)가 아니다.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bucket)로 옮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했다.반도체와 반도체가 들어가는 전자제품 등 국가 안보에 중요한 품목은 앞서 25% 관세를 부과한 철강이나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상호관세와 중첩되지 않는 '품목별 관세'를 따로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11일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 각서에서 상호관세에서 제외되는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품목을 구체적으로 명시했고, 관세 징수를 담당하는 세관국경보호국(CBP)이 같은 날 이를 공지했다. 이에 따라 전자제품은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125% 상호관세와 나머지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트럼프 대통령의 유예 조치로 7월 8일까지는 10% 기본관세만 적용) 적용 범위에서 제외됐다. 다만 미국이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의 미국 유입 차단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중국에 별도로 부과한 20% 관세는 여전히 유효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예외로 두자, 미국 언론과 정치권에선 애플 등 일부 빅테크 기업만 특혜를 준 것이란 비판 여론이 커졌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가 기존의 강경한 관세 부과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것이란 평가도 쏟아졌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나서 '관세 정책의 후퇴는 없다'고 진화에 나선 것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도 이날 ABC 방송 인터뷰에서 "이러한 제품(전자제품)들이 안심하고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하게 집중된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것"이라며 "우리는 반도체, 칩, 평면 패널을 필요로 하며 이런 것들은 미국에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간 관세 전쟁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상대로 이용한 비(非)금전적 관세 장벽 및 불공정한 무역수지와 관련해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Nobody is getting off the hook). 특히 우리를 최악으로 대우하는 중국은 봐주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제품을 미국에서 만들어야 하며 우리는 다른 나라에 인질로 잡히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같이 미국민을 무시하기 위해 가진 모든 권력을 이용할 적대적인 교역국에 대해 그렇다"고 말했다.
조영빈 기자 peoplepeopl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준석 "이재명 공약 시대착오적... 국민의힘에 위협적인 후보 없다" | 한국일보
- 나를 손찌검한 시어머니, 내 아들 결혼식까지 오시겠다는데… | 한국일보
- 안재모, 아내가 담보 대출도 갚았는데... "6억이 휴지가 돼" 사기 피해 고백 | 한국일보
- [단독] "600만원이면 돌풍 후보로" 선거 여론조사 뒤 '검은 커넥션' | 한국일보
- '순돌이' 이건주, 44년 만 엄마 만날 결심… "얼굴·이름도 몰라" | 한국일보
- "5년 하나 3년 하나"... 尹 자택 복귀 중 발언에, 민주 "퇴거 쇼" | 한국일보
- 김숙·구본승, 커플티 입고 녹화… 결혼 날짜 잡았나 ('사당귀') | 한국일보
- [단독] 서류로 500억 무인차량 성능평가?... 방사청이 자초한 공정성 논란 | 한국일보
- "기쁘다 탄핵 오셨네" 현수막 내 건 식당... 보수 커뮤니티 '별점 테러' | 한국일보
- "尹 탄핵 후 정치에 마음 떠나"... 조기 대선에 입 닫은 대구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