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라면·맥주·햄버거 도미노 인상…고삐 풀린 먹거리 물가
[앵커]
각종 먹거리 물가 인상이 도미노처럼 이어지면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있는데요.
그동안 정부 눈치를 보던 기업들이 국정 혼란을 틈타 기습적으로 가격 인상을 서둘렀다는 지적이 나오자, 정부도 물가 단속에 나섰습니다.
한지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장을 보러 나온 시민들이 장바구니에 선뜻 물건을 담지 못합니다.
올해 들어서만 라면, 빵, 과자, 햄버거 등 식품·외식 기업 약 40곳이 제품 가격을 줄줄이 인상했습니다.
<이순자/서울시 용산구> "(가격이) 오른 것 같아요. 오른 것 같고, 돈 10만 원 가지고는 턱도 없어요. 뭐 좀 사려고 하면 10만 원은 더 가져와야 돼요."
연초부터 이어진 가격 인상으로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3.6%. 재작년 12월 이후 가장 많이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을 뛰어넘었습니다.
식품업계는 원·달러 환율 상승과 이상기후로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오르다보니 가격인상이 불가피했다고 말하지만, 일각에선 정국 혼란을 틈타 기습적으로 올리고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소비자단체는 식품기업들이 이윤 추구를 위해 소비자들을 외면하고 있다며, 타당성이 부족한 가격 인상 이유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정수/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사무총장> "밀가루라든지, 식용유, 옥수수 등 식품의 주요 원재료 가격들은 그렇게 오르고 있지 않거든요. 혼란한 시기에 너도나도 가격 인상을 다 단행하는 것은 소비자들이 볼 때 타당성이 매우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고…"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 따른 환율 변수가 수입 물가를 자극할 수 있고, 영남권 대형 산불로 인한 농축산물 피해가 공급 감소로 이어져 가격을 더 밀어 올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
정부의 물가 관리가 느슨해진 틈을 타 식품업계의 추가 가격 인상이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까지 나오자,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물가 상승이 담합이나 불공정행위에서 비롯됐는지 철저히 감시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자고 나면 들려오는 먹거리 물가 인상 소식에 서민들의 살림살이는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
[영상취재기자 양재준]
#먹거리 #물가 #라면 #농산물 #과자 #소비자물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지이(hanji@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국 CIA 부국장 아들, 러시아군 입대…우크라 최전방서 전사"
- "中, 美 반도체에 125% 관세 철회…에탄 등도 면제 검토"
- '부상 공백 장기화되나' 손흥민, 28일 리버풀전도 결장
- 남양주 뺑소니 운전자 구속 송치…피해학생 의식 회복
- 모스크바서 차량 폭발로 군장성 사망…러, 우크라 비판
- 북, 5천톤급 신형 구축함 진수…김정은 "선제 공격력 범위 국한되지 않아"
- '금녀' 관례 깨고 교황 곁에서 조문 80대 수녀 화제
- 검찰, 한미 군사훈련 정보 캐낸 중국인 구속 기소
- 젤렌스키 "러시아가 쏜 北미사일서 美 부품 확인"
- 사망사고 낸 창원NC파크 '루버'…전면 철거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