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속 中반도체협 "웨이퍼 제조국이 원산지"…인텔 등 타격 예상

박양수 2025. 4. 12.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반도체업계가 수입 반도체의 원산지를 웨이퍼 제조국이 어딘지를 기준으로 판단하기로 했다.

강경해지는 미중 관세전쟁 속에 미국산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규정을 명확히 함으로써 중국으로의 아웃소싱을 장려하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미중이 서로 100% 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등 관세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나온 이 조치로 중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가 상당한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파운드리 업체 수혜 전망에 주가 급등
중국 반도체 [연합뉴스]

중국 반도체업계가 수입 반도체의 원산지를 웨이퍼 제조국이 어딘지를 기준으로 판단하기로 했다.

강경해지는 미중 관세전쟁 속에 미국산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규정을 명확히 함으로써 중국으로의 아웃소싱을 장려하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1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로이터통신,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 등에 따르면 중국반도체산업협회(CSIA)는 전날 소셜미디어 위챗을 통해 반도체 원산지 기준에 대한 공지를 올렸다.

CSIA는 공지에서 "패키징 공정을 거쳤든 거치지 않았든 모든 집적회로 제품의 수입통관 시 원산지는 웨이퍼 제조 공장 위치를 기준으로 신고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고도로 전문화·다국가화 돼 있는 반도체 공급망 특성을 고려할 때 그동안 업계에서는 반도체 수입 시 관세를 적용하는 원산지 기준이 불확실했는데 이를 명확히 한 것이다.

증권사 번스타인의 애널리스트들은 투자자들이 보통 팹이 아닌 패키징이 어디에서 이뤄지느냐를 기준으로 원산지를 판단해왔고, 팹을 변경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는 점에서 CSIA의 이번 조치는 시장을 놀라게 했다고 평했다.

미중이 서로 100% 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등 관세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나온 이 조치로 중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가 상당한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실제로 협회의 공지가 나온 이후 중국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SMIC(중신궈지)는 전날 홍콩 증시에서 주가가 5.9% 상승했고 화훙반도체는 14% 급등했다.

이에 비해 미국 내 팹(fab·반도체 생산공장)에서 생산된 칩은 중국으로 수입될 때 높은 관세를 부과받게 된다.

업계에선 인텔과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글로벌파운드리,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 등이 이번 조치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상하이의 반도체 시장조사 업체 IC와이즈는 "세계 최대 집적회로 시장인 중국의 이런 규정이 미국 내에서 생산된 칩의 비용을 높일 수 있다"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겠다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미국을 다시 아웃소싱하게 만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대만 TSMC나 삼성전자가 자국 내 팹에서 제조한 칩은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한 관세를 면제받을 수 있어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SCMP는 짚었다.

로이터도 중국 반도체업체 정보플랫폼 EETop가 위챗에 올린 해석을 인용해 퀄컴과 AMD 같은 미국 칩 설계업체가 대만 업체에 제조를 아웃소싱하는 경우 원산지가 대만으로 분류돼 미국을 겨냥한 중국의 보복관세를 피할 수 있다고 전했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