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육청, AI 플랫폼 '하이러닝' 고도화…맞춤형 지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교육청은 시공간을 넘어 배움을 확장하는 인공지능(AI) 교수·학습 플랫폼 '하이러닝' 기능을 고도화해 학생 맞춤형 교육 지원을 강화한다고 8일 밝혔다.
교원의 하이러닝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학교별 하이러닝 실천교사 ▲교육지원청 하이러닝 선도교원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학교 현장의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한편 '하이러닝'은 미래교육을 대비하는 경기도교육청 AI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으로 교사의 수업과 학생 맞춤형 학습을 지원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정부=뉴시스] 김도희 기자 = 경기도교육청은 시공간을 넘어 배움을 확장하는 인공지능(AI) 교수·학습 플랫폼 '하이러닝' 기능을 고도화해 학생 맞춤형 교육 지원을 강화한다고 8일 밝혔다.
고도화한 기능은 '수업설계안 복제·공유'와 'AI 논술 문항 생성' 기능이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우수한 수업 자료들을 함께 공유하고, 학생 맞춤형 평가 준거(루브릭)을 구성할 수 있다.
추가로 깊이 있는 수업과 질문 있는 교실 지원을 위해 교사들이 초등학교 5~6학년 수학 교과 전 차시 수업설계안을 개발했고, 영어 교과 수업 콘텐츠를 배포했다.
최소성취수준 보장을 위한 고등학교 공통영어Ⅰ 영상 자료도 교사가 제작해 함께 탑재했다.
올해는 학교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교사 현장자문단 정기협의회, 하이러닝 고객센터, 1:1 게시판 등을 운영한다.
또 정책연구회와 하이러닝 자료 정책 구매제 운영을 통해 지속적인 기능 고도화와 자료를 개발할 예정이다.
교원의 하이러닝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학교별 하이러닝 실천교사 ▲교육지원청 하이러닝 선도교원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학교 현장의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한편 '하이러닝'은 미래교육을 대비하는 경기도교육청 AI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으로 교사의 수업과 학생 맞춤형 학습을 지원한다.
2023년 162교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올해 4월 기준 2640개 학교(대안교육기관 포함)에서 학생 86만9351명, 교사 6만7415명이 하이러닝을 활용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kdh@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지와 결혼 반대' 여론 시끌…♥문원, 부동산 불법중개 해명
- 장영란, 4번째 눈성형 후 근황…몰라보게 예뻐져
- DJ소다, 탈색사고 후 삭발 "뒤통수 땜방 생겨"
- '남편 보석 석방' 성유리, 옥바라지 끝 요정 미모
- 혜리, 우태와 열애설 후 "난 공격 받아도 괜찮지만…"
- 레이디 제인, 쌍둥이 엄마 됐다…시험관 3차 시술 끝에
- 걸스데이 민아·온주완 11월 결혼 "평생 함께"
- 이이경, 중고 거래 피해 고백 "15분 사이에 집 털렸다"
- 이봉원, 1억5000만원 외제차 박살…"300만원 날렸다"
- 손연재, 한남동 신혼집 최초 공개 "2년 뒤 72억 집으로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