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비, 대면 처방마저 ‘1분 컷’… 무분별한 처방 여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전히 위고비를 찾는 이들이 많다.
지난해 10월 출시 직후 품귀 현상을 빚은 비만 치료제 '위고비'는 무분별한 처방을 막고 다양한 형태의 불법 유통을 차단하기 위해 같은 해 12월, 비대면 처방이 금지된 약품이다.
정부가 위고비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비대면 처방을 막았지만, 무분별한 처방은 대면 진료에서도 여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적응 기간 없이 용량 높이면 부작용 겪을 위험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BMI 30kg/㎡ 이상인 성인 비만 환자이거나 ▲BMI 27kg/㎡ 이상~30kg/㎡미만이면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심혈관질환 등이 있는 비만 환자에게만 위고비를 처방받도록 허가하고 있다.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A의원은 제대로 진찰도 하지 않고 1분 만에 처방전을 내줬다. 의사는 위고비의 처방 기준인 BMI(체질량지수, 키·체중으로 계산)는 묻지 않았다. 기자에게 병력을 묻더니 바로 부작용을 설명했다. 그러더니 “원하는 용량이 있느냐”며 “원한다면 용량을 높여 줄 수 있다”고 먼저 제안했다. 위고비는 처음 4주간 1단계(0.25㎎)를 먼저 투여한 뒤, 그 다음 4주간 2단계(0.5㎎)를 쓰는 등 16주 동안의 적응 단계를 거쳐 최고 용량을 사용해야 한다. 처음부터 고용량을 투여하면 구토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의사는 “처음 투약하지만 높은 용량을 받고 싶다”는 기자의 말에 “원하면 가장 높은 단계를 주겠지만, 부작용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 다음 방문한 B의원에서도 1분여 만에 처방이 끝났다. 첫 병원과 마찬가지로 BMI는 확인하지 않았다. 그나마 기자가 “투약 용량을 늘리고 싶다”고 하자, 욕심”이라며 0.25㎎ 1 펜만을 처방해줬다.
세 번째로 찾은 C의원은 가장 짧은 45초 만에 진료가 끝났다. 병력은 자세히 물었지만, 비만 여부는 확인하지 않은 채 약을 처방했다.
유일하게 마지막 D의원만이 기자에게 키와 체중을 물었다. 의사는 “진료 후 부작용이 발생한다면, 이후부터는 위고비 전문 처방 병원을 찾을 것”을 고지하기도 했다. 이어 “높은 용량을 줄 수 없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첫 투여는 무조건 0.25㎎”이라며 처방 용량을 제한했다.
네 개의 병원 중 한 곳을 제외하고 모두 BMI를 확인하지 않은 채 위고비를 처방했다. 정부가 위고비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비대면 처방을 막았지만, 무분별한 처방은 대면 진료에서도 여전했다. 이런 경우 미용 목적으로 위고비를 오남용하는 일이 지속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만 치료제인 위고비에 대한 인식이 왜곡될 우려도 있다.
‘1분 컷(1분 만에 끝나는)’ 진료도 문제다. 위고비는 뇌의 식욕 중추를 건드려 식욕을 억제하는 GLP-1 호르몬의 유사체로 효과와 안정성을 인정 받은 약제다. 하지만 용량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투여하면 구토, 복부 팽만감, 담낭염, 흡인성 폐렴, 췌장염 등의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의사는 환자의 상태, 투약 경험, 과거 병력, 기타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 용량을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위고비의 오남용을 막으려면 대면 처방만 의무화할 것이 아니라, 처방 기준에 맞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진료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 더 나아가 환자가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도록 위고비의 올바른 사용법 홍보가 필요하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볼드모트 몸이 이렇게 좋았어?”… 62세 랄프 파인즈, 나이 잊은 복근 비결은?
- [뷰티업계 이모저모] 아이레시피, '시카 PDRN 흔적 클리어 라인' 출시… 첫 엠베서더는 '김도훈' 外
- [의학칼럼] "자동차 사고 후, MRI 검사로 후유증 잡아야"
- "키우던 반려견 때문에?" 눈 찢어지는 사고… 포메라니안 등 소형견도 주의
- 성인 된 ‘대치 키즈’, “지금까지도 정신과 치료”…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 이대로 괜찮을까
- ‘박수홍 아내’ 김다예, 임신 후 37kg 찌더니… 의사 “70대 할머니 수준”, 상태 어떻길래?
- 황정음, 안락사 위기 ‘유기견’ 입양… 아이들 ‘이것’ 발달에 좋다고?
- 트럼프·클린턴 모두 겪은 ‘이 피부 질환’… “한국 음식 먹으면 예방”!?
- "온코프리, 유방암 예후 정교하게 예측"
- “고도비만에서, 30kg 감량 성공” 이세령 고백, 다이어트 요요 막으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