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부과…의도된 경기둔화로 금리 안정 유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정책이 경기 둔화를 의도적으로 유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가 원하는 건 의도된 경기 둔화와 소프트 랜딩"이라며 "관세가 물건 가격 상승보다 수요 둔화에 방점이 찍히기 때문이다. 이에 트럼프는 시장금리 하향 안정화 및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하 유도, 이자 비용 감소, 장기채 발행으로 좀 더 자유로운 재정 계획, 대기하고 있는 정책 발표 등에 대한 효과 부각 등을 원한다"고 판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정책이 경기 둔화를 의도적으로 유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수요 둔화를 통한 시장금리 안정화 및 장기채 발행을 통해 자유로운 재정 계획을 추진하기 위한 사전 포석이라는 판단이다.
그는 이어 “중국 상무부가 발표한 11가지 대미 제재의 주요 내용은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대해 34%의 추가 관세 부과, 사마륨을 비롯한 7개 종류의 희토류 광물에 대한 수출 통제, 16개 미국 군수기업에 대해 군수용·민간용인 이중 용도 물품의 수출 금지, 듀퐁 및 드론 제조기업 등을 포함한 11개 미국 기업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으로 지정 등이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로 중국 경제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김 연구원은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는 올해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최소 1%포인트 끌어내릴 것”이라며 “중국의 대미 관세부과와 미국의 추가 대중 제재 가능성에 수요 위축 및 디플레이션 압력 커지면서 부양 정책 강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예상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의도적으로 경기 둔화를 유도하고 있다는 평가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가 원하는 건 의도된 경기 둔화와 소프트 랜딩”이라며 “관세가 물건 가격 상승보다 수요 둔화에 방점이 찍히기 때문이다. 이에 트럼프는 시장금리 하향 안정화 및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하 유도, 이자 비용 감소, 장기채 발행으로 좀 더 자유로운 재정 계획, 대기하고 있는 정책 발표 등에 대한 효과 부각 등을 원한다”고 판단했다.
김 연구원은 또 “트럼프의 의도와는 다르게 컨트롤이 어려운 자산 시장발 하드 랜딩으로 진행될 경우, 향후 더 많은 재정을 통해 경기를 살려야 한다는 점에서 추가적으로 자산시장이 더 하락하는 경우 트럼프가 하드 랜딩 가능성을 무시하며 현재의 스탠스를 지속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내다봤다.
그는 “트럼프 1기 대비 자산시장의 반응이 너무 빠르다는 점에서 이와 연계해 트럼프 풋(감세, 규제완화 등 경기 부양책)과 파월 풋(선제적 금리 인하)도 생각보다 빨라질 개연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김응태 (yes010@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치 관련 글 모두 내렸다" 전한길, '세금만 27억' 발끈한 이유
- 불길에 남겨졌던 동물들…재난 매뉴얼에도 없었다
- "선수 밟고 다녀"…유명 피겨 코치 아동학대 논란
- "선수 밟고 다녀"…유명 피겨 코치 아동학대 논란
- 로또 '100억' 대박 터졌나…1등 수동 5장 '한 곳'서 나왔다
- 샤이니 키, 럭셔리 새집 어디?…한강뷰에 테라스까지[누구집]
- "엄마 편하게 보내자"…혼수상태 아내 호흡기 뗀 남편, 재판 결과는 [그해 오늘]
- [단독]尹탄핵심판 대리인단 수임료 0원…"나라위해 무료봉사"
- “잠복한 아빠, 내 눈 앞에서 엄마 해쳐”…중학생 딸의 울분[그해 오늘]
- 尹, 지지자에 "늘 곁 지키겠다"…'사저정치' 시동 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