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이 된 윤 대통령 변명과 책임 회피…검·경 수사기록으로 깨져
【 앵커멘트 】 윤석열 전 대통령은 탄핵심판 변론에 직접 출석해 적극적으로 방어권을 행사했었죠. '국회 무력화 의도가 없었다', '경고성·호소성 계엄이었다' 등 여러 주장을 펼쳤는데요. 국회 측이 신청한 검·경 수사기록에 있는 계엄 관련자들의 진술과 녹취가 윤 전 대통령을 궁지로 몰아넣었습니다. 이 내용은 박규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은 탄핵심판 변론에서 발언 기회를 얻자마자 검찰 조서 증거채택을 문제 삼았습니다.
▶ 인터뷰 : 윤석열 / 당시 대통령 (지난 2월) - "만연히 증거로 채택해서 사실 인정에 반영한다는 거는 잘 좀 살펴주십사 부탁드리겠습니다."
탄핵심판정에서 밝혀진 내용만 증거로 인정해달라는 건데, 헌재는 평의를 거친 끝에 선례와 헌재심판규칙 등에 따라 검·경 수사기록 사용에 문제가 없다고 결론내렸습니다.
결국 비상계엄 관계자들의 수사기록은 탄핵심판 핵심 쟁점들에서 윤 전 대통령의 발목을 잡았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네 명씩 들어가면 한 명씩 데리고 나올 수 있지 않느냐"라고 말했다는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의 검찰 진술과,
"아직 의결 정족수가 안 채워진 것 같으니 들어가서 인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했다는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검찰 진술은 '국회 무력화' 시도가 없었다는 윤 전 대통령의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됐습니다.
'경고성 계엄'이었을 뿐이었다는 윤 전 대통령의 주장도 최상목 부총리가 '비상입법기구 구성 지시' 쪽지를 받았다는 수사기록 등으로 힘을 잃었습니다.
탄핵심판 변론에 출석한 일부 증인들이 진술을 거부하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던 만큼, 수사기록이 없었다면 변론이 상당기간 지체됐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MBN뉴스 박규원입니다. [pkw712@mbn.co.kr]
영상편집 : 양성훈 그 래 픽 : 임지은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단독] 대선 날짜 6월 3일 결론…다음 주 화요일 발표
- 홍준표 대선 출마 예고…TK 수장 이철우·김문수도 출마 임박?
- 이승기, 정산금 소송 승소…法 “후크엔터 5억 8천만 원 지급해야”
- 친윤계 ″윤 전 대통령과 거리두기 없다″ 일축
- 초교 동창에게 총구 겨눈 60대…″난 위협만 했을 뿐″
- 퇴임 후 사저 예산 140억 책정…윤 부부, 어디로 갈까?
- 윤 전 대통령, 관저서 나경원 의원 면담 ″어려운 시기 역할 고맙다″
- 조두순, 하교 시간대 거주지 무단이탈…″형사 입건 검토″
- 홍준표 ″정치 인생 마지막 사명으로 준비″…사실상 대선 출마 선언
- 관세 부과에도…미국 현대차 ″모든 차종 두 달간 가격 인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