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트럼프 관세로 세계화 끝났다…韓·日·베트남 투자 고갈"

신기림 기자 2025. 4. 3. 13: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통해 세계화 시대의 장막을 내리고 있지만 관세 목표인 미국의 제조업 부활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관세 공습에 나섰고 '세계화 시대가 끝났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보냈다고 WSJ은 3일(현지시간) 평가했다.

막대한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면 된다는 것이 트럼프의 논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기대대로 해외기업의 美투자 확대 쉽지 않아…비용 및 불확실성 문제"
"첨단기술 중심 美 제조업, 저가부품 국내서 조달 준비도 안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서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행정명령 서명식 중 흡족한 표정으로 연설을 하고 있다. 2025.04.03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통해 세계화 시대의 장막을 내리고 있지만 관세 목표인 미국의 제조업 부활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관세 공습에 나섰고 '세계화 시대가 끝났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보냈다고 WSJ은 3일(현지시간) 평가했다. 관세 인상으로 수십 년간 세계 경제를 견인한 미국이 지지한 세계화의 끝이 시작했다는 의미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던 중국은 기존에 부과됐던 20% 관세에 34% 상호관세까지 더해지면 기본 관세율이 54%에 달한다. 트럼프가 베네수엘라산 원유 구매에 대해 부과한 2차 관세 25%까지 추가되면 중국 관세율은 79%까지도 치솟을 수 있다.

막대한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면 된다는 것이 트럼프의 논리다. 트럼프의 메이드인아메리카 정책은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대체국으로 급부상했던 베트남과 미국의 아시아 주요 동맹 한국과 일본에 쏟아졌던 투자가 고갈될 수 있다고 WSJ은 예상했다.

하지만 트럼프가 원하는 방식으로 전세계 공급망이 재편되고 미국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비용을 고려할 때 트럼프의 야망이 현실화하기는 쉽지 않다고 WSJ은 지적했다. 무역전쟁이 격화할 위험 속에서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며 미국을 포함한 세계 경제 성장이 저해할 위험이 커진다.

또 다른 문제는 현재 미국의 제조업은 첨단 기술에 맞춰져 있다는 점이다. 미국 제조업 공장은 해외에서 훨씬 더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기본 재료와 부품에 대한 국내 공급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고 WSJ은 설명했다.

shinkir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