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식품·외식이 물가 부추겨…석 달째 2%대 상승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앵커>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2.1% 상승하면서 석 달 연속 2%대의 오름세를 유지했습니다.
[전한영/농림축산식품부 대변인 : 식재료비 ·인건비 ·임차료 ·배달앱 수수료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전월보다 0.3% 상승, 전년보다는 3.0% 상승하였습니다.] 통계청은 전체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1%로, 3개월 연속 2%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2.1% 상승하면서 석 달 연속 2%대의 오름세를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가공식품과 외식물가는 3% 넘게 올라서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홍영재 기자입니다.
<기자>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3.6%나 올랐습니다.
지난 2023년 12월 4.2% 상승 이후 1년 3개월 만에 최대폭의 상승입니다.
최근 라면과 맥주, 커피우유, 아이스크림 제품 가격이 줄줄이 인상됐고, 특히 빵은 6.3%나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두원/경제동향통계심의관 : 1~2월, 2~3월 계속 일부 빵 제과업체에서 빵 가격 출고가가 인상돼서 그 부분이 지금 순차적으로 계속 반영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외식 물가도 지난해 동월 대비 3% 올랐습니다.
[전한영/농림축산식품부 대변인 : 식재료비 ·인건비 ·임차료 ·배달앱 수수료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전월보다 0.3% 상승, 전년보다는 3.0% 상승하였습니다.]
통계청은 전체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1%로, 3개월 연속 2%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월 6.3% 올랐던 석유류는 국제유가 하락에 힘입어 지난달 2.8% 상승에 그쳤고 서비스 물가는 2.3%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먹거리 가격 안정을 위해 주요 품목별 수급 상황을 점검할 방침입니다.
특히 최근 영남권을 강타한 산불의 영향은 아직 물가에 반영되지 않아 농축산물 피해를 조사한 뒤 수급 영향도 분석할 계획입니다.
(영상편집 : 우기정)
홍영재 기자 yj@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수원 오피스텔 앞에서 모녀 숨진 채 발견…추락 추정
- 서울 기동대 1만 4천 명 배치…"시설 파괴, 재판관 신변 위해는 구속" [바로이뉴스]
- 테이, 故장제원 추모 논란 해명…"그로 인한 상황이 안타깝다는 뜻"
- 대학 동문 얼굴에 나체 합성해 유포…'지인 능욕방' 일당 검거
- 1천만 탈모인 '화들짝'…맥주효모·비오틴의 배신 [친절한 경제]
- 뒤에서 머리 내리쳤다…각목 든 20대 "술 취해 기억 없다"
- "호텔서 만나"…여성인 척 남성 유인해 금품 빼앗은 10대들
- 일부러 차에 '소 배설물' 덕지덕지 바른다?…알고 보니
- "엄마 가게 도와주세요"…자영업자 '구조 지도' 화제
- "대기자 6만 명 넘어"…윤 탄핵심판 선고, 방청 신청 폭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