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에 중국·간첩? 데프콘 뜬다” 카더라에 참다못한 미군 반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한미군이 '계엄이 내려지면 미군이 투입될 수 있다'는 취지의 주장에 대해 "허위 정보"라고 밝혔다.
1일 주한미군 등에 따르면 전날 주한미군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 계정은 한 이용자가 '산불에 간첩이나 중국 연관 있으면 바로 데프콘 계엄 미군 투입 가능'이라고 올린 게시물에 "허위 정보를 퍼트리지 말라"고 영문으로 답글을 달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군, 韓계엄령에 동원 안 돼"
[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주한미군이 ‘계엄이 내려지면 미군이 투입될 수 있다’는 취지의 주장에 대해 “허위 정보”라고 밝혔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허위 정보가 확산됐기 때문인데, 주한미군 측이 SNS 게시글에 이같이 즉각 반응하는 건 이례적이다.
해당 이용자는 ‘제대로 한국어를 이해한 것이 맞냐’고 반응했다. 이에 주한미군 공식 계정은 다시 답글로 “제대로 번역됐다”, “누군가 우릴 태그했고, 우리는 거짓 정보를 퍼트리지 말라고 말한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주한미군은 지난 12.3 계엄령 당시 돌았던 루머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주한미군 공식 계정은 “미군 부대는 한국 계엄령에 동원될 수 없고, 지난 12월에도 그런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라고도 밝혔다.
현재는 처음 글을 올린 해당 이용자가 게시물을 삭제해 주한미군 계정이 단 답글도 현재 사라진 상태다.
주한미군 측은 이러한 글을 올린 경위에 대해 ”우리는 활동의 투명성을 제공하기 위한 도구로 소셜미디어를 활용 중“이라며 ”대중과 직접 소통하고 한미동맹의 더 깊은 이야기를 공유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앞서 지난 1월에도 ‘계엄 당일 미군이 선거연수원에서 중국인 99명을 체포해 오키나와로 압송했다’는 가짜뉴스가 퍼진 바 있다.
당시 주한미군과 미국 국방부는 루머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그러나 유튜브 등 온라인에서 해당 음모론이 계속 퍼져나가면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는 분석이 나온다.
홍수현 (soo00@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탄핵심판 선고 구경"…헌재 20석 방청 신청에 9만명 몰려
- 전문 프로파일러가 본 '스타' 김수현의 기자회견
- 노엘 "제자리로" 글이 父장제원 겨냥? 게시 시간 확인해보니
- 탄핵 선고 미리 보는 방법...‘이것’ 알면 보인다
- 산불에 어르신 업고 뛴 외국인, 韓장기거주 자격 부여될듯
- 미얀마 강진 사망자 2719명…당국 "3000명 넘을 것"
- 尹 탄핵 선고일, 헌재 주변 궁궐·박물관·미술관 문 닫는다(종합)
- 편의점서 일하던 전처 살해하고 불까지…30대 남성 검거
- 주문 읽는 즉시 효력 발생…尹 파면이냐 직무복귀냐
- 전현무, 후두염 어느 정도길래…"역대 최악, 혼자이니 서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