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이 '전기톱 개혁'…물가 이어 빈곤 잡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아르헨티나 빈곤율이 2022년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3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국립통계청은 지난해 하반기 기준 빈곤율이 38.1%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빈곤율 하락에는 물가 상승률 둔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 빈곤율이 2022년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강도 높은 긴축 정책에 빈곤율이 오를 것이란 우려까지 불식되며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경제 개혁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3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국립통계청은 지난해 하반기 기준 빈곤율이 38.1%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같은 해 상반기 52.9%에서 14.8%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약 170만 명이 빈곤에서 벗어난 셈이다. 극빈층도 560만 명에서 380만 명으로 줄었다.
밀레이 대통령은 2023년 말 취임 이후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정부 지출을 대폭 삭감했다. 이에 따라 보조금도 줄어들면서 서민 경제가 위협받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지만 이번 빈곤율 하락은 정반대 결과를 보여줬다. 대통령실은 이날 성명을 통해 “이번 수치는 과거 정책의 실패를 보여준다. 가난한 이를 돕겠다면서도 수백만 명을 빈곤으로 내몰았다”며 전 정권을 비판했다.
빈곤율 하락에는 물가 상승률 둔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2023년 12월에 전월 대비 25.5%에 달한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2.5%까지 떨어졌다. 여기에 지난해 4월부터 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을 앞서면서 실질 임금이 올랐다. 정부의 전체적인 지출은 줄었지만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직접 지원은 일부 확대됐다. 아르헨티나 양육수당은 1년 사이 351.5% 인상됐다.
아르헨티나는 지난해 3분기 경기 침체에서 벗어났으며 최근에는 16년 만에 재정 흑자를 기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아르헨티나 국내총생산(GDP)이 5%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임다연 기자 allope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튜브 하고 싶은데…" 2030 '인기 폭발' 자격증 뭐길래
- 피클·오이지 즐겨 먹었는데…뜻밖의 연구 결과에 '충격' [건강!톡]
- 편의점서 불티나게 팔렸다…커피·콜라 제친 '의외의 음료'
- "한국, 압도적 세계 1위"…로봇이 일자리 뺏는다더니 '반전'
- '세계 최초'…실리콘밸리도 깜짝 놀란 韓 쌍둥이의 비밀
- '1조 대박' 오리온 또 일냈다…초코파이마저 제친 '이 제품'
- 노엘 "고마워, 사랑해"…父 장제원 비보 후 올린 글 보니
- "돌반지 안 팔길 잘했네"…금값 나날이 치솟더니 결국
- "월세 너무 비싸"…회사 화장실서 먹고 자는 18세 직원
- "갈치구이 1인당 10만원?"…제주지사까지 직접 나선 까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