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 대장암 급증…빈혈도 ‘숨은 경고 신호’

김다정 2025. 3. 31. 17: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대장암 발병률이 급증하는 가운데, 세계 최고 병원 중 하나인 미국 메이요 클리닉은 "갑작스럽게 빈혈이 나타난다면 대변에 혈액이 보이지 않더라도 (대장암의) 경고 신호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데릭 에브너 메이요 클리닉 소화기내과 교수는 "50세 미만 젊은 대장암 환자들에게서 복통, 설사, 배변 시 혈액, 철분 결핍성 빈혈 등의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며 "특히 대변에서 눈에 띄는 출혈이 없어도 미세한 출혈이 지속되면 체내 철분 수치가 감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메이요 클리닉 "대장암, 조기 발견이 핵심…빈혈·복통·설사 및 배변시 출혈 주의해야"
전세계적으로 젊은 대장암 환자들의 증가세가 보이는 가운데 갑작스러운 빈혈의 경우에도 대장암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젊은 층을 중심으로 대장암 발병률이 급증하는 가운데, 세계 최고 병원 중 하나인 미국 메이요 클리닉은 "갑작스럽게 빈혈이 나타난다면 대변에 혈액이 보이지 않더라도 (대장암의) 경고 신호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데릭 에브너 메이요 클리닉 소화기내과 교수는 "50세 미만 젊은 대장암 환자들에게서 복통, 설사, 배변 시 혈액, 철분 결핍성 빈혈 등의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며 "특히 대변에서 눈에 띄는 출혈이 없어도 미세한 출혈이 지속되면 체내 철분 수치가 감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사이테크데일리가 30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메이요 클리닉에 따르면 대장암은 발생 부위에 따라 대장에서 시작되는 '대장암'과 직장에서 시작되는 '직장암'으로 구분된다. 최근 20년간 전 세계적으로 젊은 대장암(50세 미만)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인데, 특히 직장암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한국은 50세 미만 대장암 발병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국가로 꼽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2030대 대장암 환자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4년 새 34.3% 증가했다. 지난해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메디컬센터 연구에서도 한국의 2049세 대장암 발병률이 조사 대상 42개국 중 1위(인구 10만 명당 12.9명)로 나타났다.

한국의 젊은 대장암 환자들이 급증하는 이유로는 서구화된 식습관과 비만 증가가 꼽힌다. 과거 한국에서 가장 흔한 암이었던 위암은 감소하는 반면, 대장암은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통적인 한식 위주의 식단에서 벗어나 동물성 지방과 가공육 소비가 늘어난 점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한다. 짠 반찬과 뜨거운 국, 찌개 등 위암 발생 위험이 높았던 식습관이 줄어든 대신, 고지방 음식 섭취가 증가하면서 대장암 위험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 1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된 연구에서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에서 대장암이 증가하는 주된 요인으로 서구형 식습관과 비만이 지목됐다.

이원석 가천대 길병원 외과 교수는 "대장암은 정기적인 검진과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충분히 예방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50세 이상은 1~2년마다 대변 잠혈 검사나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족력이 있는 경우 일반인보다 10년 이른 나이에 검사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사는 용종(폴립)을 조기에 발견하고 제거할 수 있어 대장암 예방 효과가 크다"며 배변 변화나 빈혈 증상이 나타난다면 단순 피로로 넘기지 말고 반드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다정 기자 (2426w@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