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 헬스] 올해 '이것' 빨리 찾아와..."치료법 없고 심하면 사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주도와 전라남도에서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처음 발견됨에 따라 질병관리청이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27일 발령했다.
제주도와 전남에서 이달 24~26일 채집한 모기 42마리 중 10마리가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됐다.
제3군 법정 감염병인 일본뇌염은 일본 뇌염 매개 모기(작은 빨간집 모기)에 물려서 바이러스가 혈액 내로 전파됨으로써 급성 신경계 증상이 나타나는 전염병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와 전라남도에서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처음 발견됨에 따라 질병관리청이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27일 발령했다.
제주도와 전남에서 이달 24~26일 채집한 모기 42마리 중 10마리가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해 발견일(3월 30일)보다 사흘 이른 것으로 질병관리청은 제주와 완도 지역의 평균 기온이 전년보다 6.2도나 오르면서 모기 활동이 빨라진 결과로 추정했다.
제3군 법정 감염병인 일본뇌염은 일본 뇌염 매개 모기(작은 빨간집 모기)에 물려서 바이러스가 혈액 내로 전파됨으로써 급성 신경계 증상이 나타나는 전염병이다. 사망률이 높고, 후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일본뇌염에 감염되더라도 무증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증상이 나타나는 감염의 경우, 모기에게 물린 후 5∼15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한다. 병의 경과는 그 증상에 따라 전구기(2∼3일), 급성기(3∼4일), 아급성기(7∼10일), 회복기(4∼7주)로 구분할 수 있다.
초기에는 고열, 두통, 구토, 복통, 지각 이상을 호소합니다. 아급성기에는 의식 장애, 경련, 혼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회복기에는 언어 장애, 판단 능력 저하, 사지 운동 저하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병 5~10일경에 호흡 마비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뇌염만을 치료하는 특별한 방법은 없다. 급성기에는 절대 안정을 취하고, 환자가 혼수상태일 때는 기도를 유지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고열이 있으면 해열제와 찜질을 사용해 열을 내려야 한다. 경련, 뇌부종은 적절한 약물을 투여해 치료한다. 폐렴이나 요로 감염이 있을 때는 항생제를 사용하면 된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데일리 헬스] 추성훈 "우리 집 것 썩어"…'이것' 잘못 사용했다간 사망까지도
- [데일리 헬스] 오나라, '다이어트 보조제' 탓에 뚝 떨어진 식욕...'이 질환' 환자들 주의해야
- [데일리 헬스] '폭싹' 애순이 엄마 광례(염혜란) 요절케 한 이 질환, 잠녀만 걸릴까
- [데일리 헬스] 역대급 대형 산불...'여기'로 대피하면 연기 가둬 더 위험
- [데일리 헬스] 1분 만에 내 수명 예측한다?…'이 테스트' 뭐길래
- 국민의힘 "민주당, 총리·부총리까지 끌어내려야 직성 풀리나"
- 민주당도 尹 탄핵 각하·기각 이유 6가지 꼽는다?…장성민이 전한 野 분위기
- 박충권 "마은혁은 공산주의자" 선언…민주당 '발칵', 본회의장 아수라장
- '승부'로 기선제압, '로비'로 이어갈까… 장르의 온도차로 반격 나선 한국영화 [D:영화 뷰]
- ‘이걸 뒤집어?’ 흥국생명, 대역전극 만들며 우승 확률 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