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플랫폼 발란, ‘제2의 티메프’ 되나
신용카드·PG사 철수, 사실상 먹통
창업자, 해명·정상화 약속 못 지켜
손실 누적, 재무능력 상실 가능성
입점업체 1300곳, 미정산 수백억
몰래 법정관리 신청 준비 의혹도
판매대금 정산 지연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의 결제 서비스가 전면 중단됐다. 판매자들은 ‘제2의 티메프(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가 벌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발란의 상품 구매·결제가 지난 28일 밤부터 모두 막혔다. 신용카드사와 전자결제대행(PG)사가 발란과 관련한 서비스를 중단하고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란의 자체 결제 서비스인 발란페이도 멈춘 상태다. 현재 결제창에는 ‘모든 결제 수단 이용이 불가하다’는 안내문만 떠 있다.
발란은 지난 24일 일부 입점사에 판매대금을 지급하지 못해 논란이 됐다.
당시 발란은 자체 재무점검 과정에서 정산금 과다 지급 등 오류가 발생해 정산 일정을 미뤘다면서 28일까지 재개 일정을 재공지하겠다고 밝혔으나 결국 실행되지 않았다.
발란 창업자인 최형록 대표는 정산 지연에 대한 사과문에서 “다음주에는 여러분(판매자)을 직접 찾아뵙고 그간의 경위와 향후 계획에 대해 투명하게 설명하겠다고”고 해명했다. 최 대표는 “정산 문제 해소와 서비스 정상화를 위해 외부 자금 유입부터 구조 변화까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복원 시나리오를 실현하고자 다각도로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발란 측은 28일까지는 파트너사별 확정 정산 금액 등을 공유하겠다고 밝혔지만, 최 대표가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지 않으면서 판매대금 정산 능력이 없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만 더 커졌다.
이번 정산 지연 사태는 발란이 겪고 있는 유동성 위기에서 기인한 것으로 업계는 본다. 2015년 설립된 발란은 2022년 한때 기업가치 3000억원까지 인정받았으나 수년간 판매 부진과 고객 이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최근 기업가치가 10분의 1인 300억원대로 추락했다.
2020~2023년 4년간 발란의 누적 영업손실액은 724억원에 달한다. 지난해에도 적지 않은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며 2023년부터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업계 관계자는 “거래가 침체한 상황에서 어떻게든 매출을 일으키려고 10%대 초반의 판매 수수료를 초과하는 20~30% 할인쿠폰을 남발했고, 결국 플랫폼의 총체적인 부실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발란의 월평균 거래액은 300억원 안팎으로 입점업체는 1300여개다. 미정산 규모는 수백억원으로 추산된다.
시장에서는 회사 컴퓨터에 기업회생절차 관련 서류 파일이 있었으며 몰래 법정관리를 준비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돌고 있다. 한 판매자는 “지난해 티메프 대규모 미정산 사태에 이어 홈플러스의 기습 기업회생절차 개시까지 터지면서 도통 잠을 이룰 수가 없다”고 말했다.
정유미·이성희 기자 youm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석열 석방 화나서 감옥살이 못하겠다” ‘돈봉투 무죄’ 송영길 항소심 시작
- [단독]시민 폭행한 ‘UDT 출신’ 보수 유튜버, 경찰은 “조치할 권한 없다” 뒷짐
- 길거리 방송 중 “누구 한 명 죽이고 싶다”…40대 유튜버 현행범 체포
- 권성동, 이복현에 “금감원장이 감히 대통령 운운, 오만한 태도”
- 국힘 김미애, 장제원 겨냥 “누구든 돈과 권력으로 범죄 저질러선 안돼”
- [인터뷰]‘탄핵 찬성’ 김상욱 “닭 목 비틀어도 새벽은 와…내 역사적 소명은 파면”
- “마은혁 공산주의자!” 국힘 박충권 외침에 여야 고성 오간 본회의장
- 정진석, 장제원 빈소 조문…“윤 대통령, 너무 가슴아프다고 해”
- 버스·지하철·자전거·쓰레기통까지 싹 다 치운다…4일 안국·광화문·여의도 진공화
- 제이에스티나 대표, ‘중국산’ 표기 아세톤으로 지우고 ‘시계 12만개’ 국내산으로 속여 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