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나라 이 지경이지만…제주 4·3 기억 멈춰선 안 돼"

한재준 기자 2025. 3. 30. 18: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30일 제주 4·3 사건을 언급하며 "국가 폭력이 자행한 가장 큰 비극이며, 아직도 청산되지 않고 이어져 내려오는 역사"라며 "청산되지 않은 역사는 대물림 되기 마련"이라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저자가 말하듯이 제주 전역과 올레길 곳곳에 4·3의 흔적들이 남아있으나 길을 걷는 이들의 눈에 4·3은 보이지 않는다"며 "이 책을 읽고 제주를 오갈 때 여전히 남아있는 그 흔적들을 잠시라도 떠올려준다면 4·3의 희생자들과 제주도민들에게 큰 위로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허호준 도서 소개…"청산 안 된 역사, 대물림 되기 마련"
문재인 전 대통령이 4일 경기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10·4 남북정상선언 제17주년 기념식 및 2024년도 한반도 평화주간 폐막식'에 참석해 자리하고 있다. 2024.10.4/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서울=뉴스1) 한재준 기자 = 문재인 전 대통령은 30일 제주 4·3 사건을 언급하며 "국가 폭력이 자행한 가장 큰 비극이며, 아직도 청산되지 않고 이어져 내려오는 역사"라며 "청산되지 않은 역사는 대물림 되기 마련"이라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허호준 작가의 도서 '4·3, 19470301-19540921 기나긴 침묵 밖으로'를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나라가 이 지경이니 책 읽을 기분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4·3을 제대로 알고 기억하는 일을 멈춰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계엄 내란이 적나라하게 보여준, 군사력으로 생각이 다른 사람을 절멸하려는 광기와 야만의 원형을 제주 4·3에서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저자가 말하듯이 제주 전역과 올레길 곳곳에 4·3의 흔적들이 남아있으나 길을 걷는 이들의 눈에 4·3은 보이지 않는다"며 "이 책을 읽고 제주를 오갈 때 여전히 남아있는 그 흔적들을 잠시라도 떠올려준다면 4·3의 희생자들과 제주도민들에게 큰 위로가 될 것"이라고 했다.

hanantwa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