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사 “잔불정리 오늘 마무리…뒷불 감시 체제로 전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30일 '경북 산불'과 관련해 "오늘 중으로 잔불 정리가 끝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날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밤에는 마무리가 될 것 같다"며 "내일부터는 뒷불 감시 체제로 전환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편 이 지사는 이번 산불 피해는 지난 2022년 동해안 산불 피해 9000억원의 적어도 몇 배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번 산불 피해 규모, 2022년 동해안 산불보다 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30일 ‘경북 산불’과 관련해 “오늘 중으로 잔불 정리가 끝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날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밤에는 마무리가 될 것 같다”며 “내일부터는 뒷불 감시 체제로 전환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산불로 인한 이재민 지원과 관련해서는 “농사철인데 대피시설인 체육관에서 먼 거리에 있는 생활 터전까지 농사를 지으러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불편을 겪어야 한다”며 “하루빨리 생활 터전 가까이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무상으로 지원받은 모듈러주택 100동을 우선 설치해 이재민에게 제공한다.
추후 이를 확대해 이재민들이 집을 지을 때까지 1년 정도 생활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이 지사는 “이재민들이 집을 지어 나가면 모듈러주택을 구입해 전국에서 휴양림 등 숙박시설로 활용하다가 재난이 발생하면 다시 이재민들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경북도는 산불로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되는 등 본업이 불가능해진 주민들이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울 방침이다.
경북도는 거주지 인근 긴급주거시설과 농업, 수산업 등 피해 산업을 지원하는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복구 및 지원 특별법’ 제정을 정부, 정치권과 협의해나갈 계획이다.
또 이 지사는 피해 시설물 최대 지원을 위한 자연 재난 수준의 복구 지원액 적용도 정부에 요청했다.
이번 산불은 사회 재난으로 분류돼 주거비로(주택 전파 경우) 2000만∼3600만원 사이를 지원받을 수 있다.
하지만 자연 재난은 피해주택 연면적에 따라 주택복구비가 6600만∼1억2000만원이기에 자연 재난 수준이 적용된다면 화재로 인한 이재민들의 비용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 지사는 이번 산불 피해는 지난 2022년 동해안 산불 피해 9000억원의 적어도 몇 배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했다.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늘 남에게 베풀던 분”…산불에 사찰 지키던 영양 법성사 주지 스님 소사
- ‘정산지연’ 발란, 결제서비스 중단…‘제2의 티메프’ 사태?
- 경북 산불, 역대 최악 기록 전망…강원 동해안 산불 기록 넘어
- 흉기난동범에 실탄 발포해 숨지게 한 경찰관, 정당방위 인정
- 한동훈 “86세대 꿀 빨고 청년세대 독박”…국힘 내부 ‘연금개혁’ 여진
- “웹젠, R2M 서비스 중지하고 169억 배상해야”…엔씨, 리지니M 저작권 소송 2심도 승소
- 춘천출신 경계현 고문 ‘80억원’ 삼성전자 연봉왕
- 강원대, 춘천교대·강원도립대와 2027년까지 통합 추진
-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 전세계 3위” 어떻게 모았나
- 이번엔 20번대 줄번호 로또 1등 36명, 당첨금 각 8억200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