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엔 운동] "걸어야 좋다는데⋯'몇 보' 이상 걸어야 암 위험 줄어들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상 속 가벼운 신체 활동, 특히 '걷기'가 암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 결과, 신체 활동량이 가장 많은 그룹은 가장 적은 그룹에 비해 암 발생 위험이 26% 낮았으며, 특히 저강도 활동(LIPA)과 중·고강도 활동(MVPA) 모두 암 위험 감소와 밀접한 연관을 보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설래온 기자] 일상 속 가벼운 신체 활동, 특히 '걷기'가 암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2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 "걷기·집안일·심부름과 같은 가벼운 활동만으로도 암 위험이 줄어든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평균 63세의 성인 8만5394명을 대상으로, 일주일간 손목에 가속도계를 착용하고 하루 동안의 △총 신체 활동량 △활동 강도 △걸음 수 등을 평균 5.8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신체 활동량이 가장 많은 그룹은 가장 적은 그룹에 비해 암 발생 위험이 26% 낮았으며, 특히 저강도 활동(LIPA)과 중·고강도 활동(MVPA) 모두 암 위험 감소와 밀접한 연관을 보였다. 하루 중 앉아 있는 시간을 LIPA 또는 MVPA로 대체할 때도 암 위험이 낮아졌다.
걸음 수와 관련된 수치에서도 이러한 효과가 확인됐다. 하루 5000보를 걷는 사람에 비해, 7000보를 걷는 이들은 암 위험이 11%, 9000보를 걸으면 16% 낮았다. 다만, 9000보 이상부터는 동일한 효과가 나타났다.
걷는 속도나 강도(보행 속도)는 암 예방 효과와 관련이 없었다. 다시 말해, 걷는 '속도'보다는 '양'이 중요하다는 것.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운동선수처럼 고강도 운동을 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실생활에서 움직임을 늘리는 것만으로도 암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며, "청소나 장보기 같은 일상 활동조차도 꾸준히 하면 건강에 의미 있는 차이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활동량이 적은 사람들도 하루에 몇 천 보만 더 걷는 것으로도 실질적인 건강 혜택을 얻을 수 있다"면서 "신체 활동을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늘리는 정책과 환경 조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당논문 : https://doi.org/10.1136/bjsports-2024-109360
/설래온 기자(leonsign@inews24.com)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횟집 수조서 촉감놀이를? 주꾸미 꺼내 아이 만지게 한 부모
- "기장이 여권 잃어버려"…필리핀발 아시아나 15시간 지연
- '자연인' 윤택, 산불 피해에 "연락 닿지 않는 분들 있어…부디 아무 일 없길"
-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전날 대비 7배 증가
- 주진우 "민주당 '정치 쇼 퍼레이드', 北 태양절 오버랩"
- 이재명, 경북 영덕서 나흘째 산불피해 현장 행보
- 한덕수 "산불 이재민에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김해 김씨', 이유는? "
- 美지질조사국 "미얀마 덮친 7.7 강진, 사망자 1만 명 넘을 확률 71%"
- [헬스+] "머리 감을 때 '우수수' 떨어져⋯탈모 부르는 '샴푸 습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