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펄 끓는 中 기술주...‘미장’ 죽쑬 때 중(中)학개미 ‘미소’ [MONEY톡]
올해 초까지만 해도 나스닥 지수가 연일 최고 기록을 세우며 승승장구한 반면, 중국 시장은 수년째 약세를 보였다. 그러다 중국 증시가 반등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9월부터다. 중국 정부가 ‘이구환신(以舊換新·낡은 것을 새것으로 바꾼다)’ 정책으로 적극적으로 내수 부양의지를 밝히면서다. 본격적으로 상승세를 탄 건 ‘딥시크’ 공개 이후다. 저비용·고성능 AI 모델 등장은 엔비디아 주가 폭락의 계기가 됐다. 지난 수년간 하락을 거듭한 중국과 홍콩 증시는 딥시크를 등에 업고 본격적인 상승세를 탔다. 기술주가 주목받으며 중국판 매그니피센트7(M7)으로 불리는 ‘테리픽10’(샤오미, 알리바바, BYD 등 10개 주도주)이 크게 뛰었다. 이들 종목이 포함된 홍콩 항셍테크지수는 올 들어서만 36% 급등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7년 만에 민간 기술기업 수장들을 만난 것도 투자심리에 불을 지피고 있다.
中 ‘7대 거인’ 40% 오를 때, 美 ‘매그니피센트7’ 10% 떨어져
‘7대 거인’이라는 단어도 등장했다. ‘7대 거인’은 프랑스 투자은행 소시에테 제네랄이 중국 기술 산업을 주도하는 7개 기업을 선정해 최근 붙인 이름이다. 텐센트와 알리바바, 바이두, 화웨이, 샤오미, 제이디닷컴, 넷이즈(NetEase) 등이다. 때론 바이트댄스나 메이투안을 넣기도 한다.
올해 들어 중국 7대 거인 기업 주가가 40% 이상 상승했다. 반면 이 기간 미국 ‘매그니피센트7’ 주식은 약 10% 떨어졌다. 7대 거인 기업의 멀티플(향후 영업이익 대비 주가)은 약 18배로, 매그니피센트7 기업에 비해 40% 이상 낮다. 그만큼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해볼 만한 대목이다.
미국만 바라보던 글로벌 투자가들도 중국 증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씨티그룹은 미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 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하는 동시에, 중국 증시 투자 의견을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했다. HSBC도 중국 증시에 대한 관심도를 중립에서 ‘비교적 높다’로 높였다. JP모건은 중국 기술주 가치의 재평가가 이뤄지면서 향후 10~15년간 평균 연간 수익률이 7.8%에 달할 것이라고 내대봤다. 모건스탠리는 “앞으로 전 세계 투자자들의 중국 자산에 대한 관심을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Word 명순영 기자 Image 게티이미지뱅크]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FDA “‘통영 굴’ 절대 먹지 마라”...판매 중단·회수, 왜? - 매일경제
- 이재명에 당선무효형 선고한 ‘한성진 부장판사’는 누구 - 매일경제
- 금 선물, 온스당 3100달러 ’또’ 경신…3500달러 갈까 - 매일경제
- 빅데이터는 알고 있었다...홈플러스 이미 방문자 점유율 ‘뚝뚝’ - 매일경제
- 또 떨어지는 리플 ... 미 증시 하락에 4% 급락 - 매일경제
- ‘배당락 주의보’…삼성전자 등 131개 종목, 31일 배당기준일 - 매일경제
- “자기야, 서울 집 괜히 샀나 봐”...20억 훌쩍 넘은 이 동네 [김경민의 부동산NOW] - 매일경제
- 이미선 75억·김복형 7억…헌재 재판관 재산 10배 차이 나는 이유 - 매일경제
- ‘오락가락’ 토지거래허가제...서울 부동산 시장 ‘대혼란’
- ‘최악 지났다’ 자평한 엘앤에프...증권가는 ‘글쎄’ -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