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리風' 그림그리는 오픈AI…미야자키 감독 반응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픈AI가 지난 25일 '챗GPT 4o 이미지 제네레이션'(이하 챗GPT 이미지) 모델을 내놓은 이후, 이 모델로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의 스타일을 모방해 제작한 밈들이 소셜미디어(SNS) 등을 통해 확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오픈AI가 스튜디오 지브리나 미야자키 하야오(84) 감독의 저작권을 침해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튜디오 지브리 공식 입장 안내놓았으나
2016년 AI애니메이션 본 미야자키 감독 반응 화제
이런 상황에서 오픈AI가 스튜디오 지브리나 미야자키 하야오(84) 감독의 저작권을 침해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스튜디오 지브리는 이같은 논란에 대해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진 않았지만, 일본에서는 과거 AI로 만든 애니메이션을 본 미야자키 감독이 “생명에 대한 모독으로 느껴진다”고 말한 과거 영상이 주목받고 있다.
이를 본 미야자키 감독은 “이걸 만든 사람은 고통을 전혀 모르는 것 같다”며 “지극히 불쾌하다”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이어 “그렇게 기분나쁜 걸 하고 싶으면 마음대로 해도 되지만, 나는 이런 걸 우리들의 일에 쓰고 싶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후 그는 “세상의 종말이 가까워진 것 같다. 인간은 자신감을 잃었다”고 덧붙였다.
물론 도안이나 화풍은 저작권으로 인정받지는 않는다. 이를 저작권으로 인정하게 되면 많은 작품을 발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픈AI의 챗GPT가 ‘지브리풍’의 그림을 그리게 하기 위해 스튜디오 지브리나 미야자키 감독 측에 허락을 받았는지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로펌 ‘프라이어 캐시먼’의 파트너 변호사인 조시 와이겐스버그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오픈AI의 AI 모델이 스튜디오 지브리나 미야자키 감독의 작품으로 훈련을 받았는지에 따라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하면서 “훈련을 시킬 수 있도록 라이선스나 승인을 받았느냐”가 문제다라고 설명했다. 오픈AI는 모델 훈련에 사용된 구체적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AI플랫폼이 더욱 강력해지고 대중화되면서 작가, 배우, 음악가, 시각 예술가 등 창작 분야의 많은 사람들이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디오게임과 애니메이션 분야서 일하는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조나단 램은 “스타일은 저작권을 가질 수 없다고 하지만, 스타일은 우리의 정체성이다”라며 말했다.
2024년 카즈오 이시구로, 줄리안 무어, 라디오헤드의 음악가 톰 요크를 포함한 1만명 넘는 배우와 음악가는 챗GPT를 포함해 AI모델을 훈련하기 위해 창작물의 무단사용을 비판하는 공개서한에 서명하기도 했다. 지난달에는 뉴욕 크리스티 갤러리의 AI 아트 경매 취소를 요구하는 공개서한에 수천명의 예술가가 동참했다
정다슬 (yamye@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면 돌파' 나선 백종원…“뼈저리게 반성, 소통 강화할 것”(종합)
- ‘괴물 산불 ’최초 발화 지점, 여기였다…‘실화’ 처벌되나
-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나”…박단, 복귀 의대생 비판
- 보겸, 산불 피해 구독자에 ‘돈뭉치’ 건넸다…“너무 심각해”
- '15세 이하 여아' 성상품화 논란에…결국 방송 취소
- "논 한 마지기 일궈 30만원도 못 번다"…암울한 상황
- 10년 병간호했는데…“전처 자식들이 나가랍니다”[사랑과전쟁]
- 조부모 집서 실종된 두 살 손자, 9개월 만에 시신으로 발견
- 아이유도, 변우석도 '21세기 대군 부인' 하차 NO[공식]
- '연애남매' 이윤하·김윤재 결혼 준비 중 파혼설…결국 결별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