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테무·쉬인 '싸다고 청바지 사줬는데, 애 잡겠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서울시]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어린이 청바지에서 국내 기준치를 157배 초과하는 유해 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테무·쉬인·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섬유 제품과 완구 41종을 대상으로 유해 화학물질 검출 여부와 내구성을 검사한 결과를 오늘(28일) 발표했습니다.
검사 결과, 어린이용 31종과 완구 5종, 선글라스 2종, 가방 3종 등 41종 가운데 10개 제품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아동용 섬유제품 5종이 유해 물질 기준을 초과하거나 물리적 안전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여아 청바지는 고무 단추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국내 기준치 대비 157.4배 초과 검출됐습니다.
남아 청바지 주머니감에서는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보다 1.2배, 여아 치마 원단에서도 1.02배 초과했습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입니다.
끈이 지나치게 길고 마감도 적절하게 처리되지 않은 여아 치마도 나왔고, 국내 어린이옷에서는 금지된 3차원 장식물을 단 아동 니트도 있었습니다.
유아용 섬유제품에서도 납, 카드뮴 등 유해 물질이 초과 검출됐습니다.
유아 블라우스에 부착된 브로치에서는 납이 기준치의 1.7배, 카드뮴은 기준치의 1.8배 초과했다. 해당 브로치의 핀은 날카롭게 제작된 점도 문제로 지목됐습니다.
유아 레깅스 3개 색상 제품 모두 리본 장식 길이가 국내 기준치를 넘어섰습니다.
이 가운데 흰색 제품은 리본 원단의 pH 수치가 8.3으로, 국내 기준 범위를 벗어나 피부 자극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형 2개 제품은 금속지퍼가 날카로워 찔림, 베임 등의 위험이 있었습니다.
자동차 완구의 내부 흰색 연질 전선에서는 납이 기준치 대비 57.7배, 카드뮴은 1.5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157배 초과 검출됐습니다.
다른 붉은 연질 전선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81.7배 초과했습니다.
시는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에 대해서는 해당 플랫폼에 판매 중단을 요청했으며 다음 달에는 어린이날을 앞두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완구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근로자 세금내고, 공무원은 패스?…'이것' 건보료도 특혜?
- '은행점포 사라졌네'…어르신들 이제 우체국서 돈 찾으세요
- 은행 연체율 또 8년만 최고…신규연체 늘고 정리규모 줄어
- 영풍, 주식배당으로 반격…의결권 부활 주장
- 금감원, 한화에어로 유상증자에 제동…"당위성 등 미흡"
- 멕·EU·日 "관세 낮춰달라"…캐나다는 '맞불' [글로벌 뉴스픽]
- '트럼프 車 관세' 승자는 테슬라?…주가 반등
- 알리·테무·쉬인 '싸다고 청바지 사줬는데, 애 잡겠네'
- IMF "올해 미국 경기 둔화 전망…침체는 아냐"
- 고베 직항 생기고 프라하행 늘린다…하계 항공일정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