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환구시보가 '폭싹 속았수다' 극찬... 한한령 완화 청신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수주의 성향 중국공산당 기관지 '환구시보'가 이례적으로 한국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극찬했다.
27일 환구시보는 '한국 시대극, 새로운 히트작 탄생'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아이유, 박보검 등이 출연하는 한국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지난 7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이후 국내와 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도우반(중국 평점 사이트) 평점 9.4점을 기록하며 최근 몇 년 사이 이 플랫폼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한국 드라마가 됐다"고 보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례적으로 한국 드라마 성공 요인 심층 분석
양국 고위급 '문화 교류 증진' 공감대 힘입어
K팝 공연, '미키17' 한한령 완화 시그널 ↑
국수주의 성향 중국공산당 기관지 '환구시보'가 이례적으로 한국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극찬했다. 환구시보는 평소 김치와 한복의 중국 기원설을 옹호하는 등 한국을 자극하는 보도를 쏟아내는 것으로 악명 높다. 관변 매체의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에 '한한령 완화를 암시하는 청신호'라는 관측도 나왔다.
27일 환구시보는 '한국 시대극, 새로운 히트작 탄생'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아이유, 박보검 등이 출연하는 한국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지난 7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이후 국내와 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도우반(중국 평점 사이트) 평점 9.4점을 기록하며 최근 몇 년 사이 이 플랫폼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한국 드라마가 됐다"고 보도했다.
새로운 장르+시대적 디테일+공감=성공
환구시보는 유사한 시대극인 '응답하라 시리즈'와 비교하며 드라마의 성공 요인을 조목조목 파헤쳤다. 그간 한국 드라마는 시대극보다 로맨스에 강점이 있었지만, 최근 넷플릭스와 협력을 심화하면서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고, 한국의 사회적 변화를 생활의 디테일에 접목해 평범한 사람들의 공감을 일으켰다는 게 환구시보가 분석한 흥행 요소다.
그간 K팝 등 한류 문화를 깎아내리기에 급급했던 환구시보의 한국 드라마 호평은 무척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환구시보는 2020년 미국 비영리재단으로부터 밴 플리트상을 받은 방탄소년단(BTS)이 "올해는 한국전쟁 70주년으로 양국(한국과 미국)이 함께 겪었던 고난의 역사와 희생을 영원히 기억해야 한다"고 말한 것에 대해 "중국의 존엄성을 해쳤다"며 비난하는 등 수차례 한국을 폄하한 전력이 있다.
한중 문화 교류 증진 기류에... 환구시보 태세 전환?
환구시보의 이 같은 태세 전환은 양국 고위급에서 지속 확인되고 있는 문화 교류 증진에 대한 공감대와 무관하지 않다고 베이징 외교가는 보고 있다. 지난 2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중외교장관 회담에서 양국 외교수장은 문화교류 복원을 통해 양국 협력을 발전시키자는 데 뜻을 모은 바 있다. 올해 우원식 국회의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면담에서도 한중 문화교류 확대는 꾸준히 언급됐다.
그간 중국은 공식적으론 "한한령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실제로는 한국 콘텐츠를 제한해 왔다. 그러나 최근 한중관계 개선 기류를 타고 조금씩 빗장을 푸는 분위기가 베이징 문화계에서 감지된다. 문일현 중국 정법대 교수는 "일종의 '보이지 않는 장벽'인 한한령을 해제하기 위해 중국 입장으로서는 명분을 쌓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이번 보도를 평가했다. 이어 "영화나 공연처럼 일회성 콘텐츠가 아닌 드라마를 관영 매체가 전격적으로 다루는 것은 중요한 신호"라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내달 12일부터 이틀간 중국 남부 하이난섬에서 열리는 '워터밤 하이난 2025' 공연에는 K팝 가수들이 대거 포함됐다. 가수 제시, 에일리, 박재범, 지아, 피에이치원(PH-1), 타블로, 타이거JK&윤미래, 소녀시대 출신 제시카 등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모두 한국에 기반을 두고 왕성하게 활동하는 연예인들이지만, 국적은 미국 등 해외 국적이다. '한국인'이 아니기에 중국 내 공연을 허가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 제작하고 배급한 영화는 아니지만,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한국 대표 감독인 봉준호 감독의 영화 '미키17'이 중국 내에서 개봉한 점도 한한령 완화 기대감을 더하고 있다.
베이징= 이혜미 특파원 herstory@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민 구할 맘에 전등도 못 꺼... 주인 잃은 이장댁, 홀로 환했다 | 한국일보
- "안고 자고 싶어"... 故 김새론 유족, 9년 전 김수현 메신저 대화 공개 | 한국일보
- '美그랜드캐니언 여행 중 실종' 한국인 가족 탑승 추정 차량, 불탄 채 발견 | 한국일보
- '이재명·김문기 사진' 공개 당사자 "졸지에 사진 조작범"... 누리꾼들 '재반박' | 한국일보
- [단독] 尹 선고 늦어지자 피로 누적된 경찰... 숙박비만 13억 원 | 한국일보
- "피부 찢기고 몸부림 흔적도"... 불길 속 새끼 지키려 한 엄마 백구 | 한국일보
- 13세에 속옷 사진 촬영 강요한 30대 싱가포르 남성, '태형+징역' 선고 | 한국일보
- 추성훈이 김새론 장례비 전액 지원?… "근거 없는 가짜뉴스" | 한국일보
- 이재명, 아직 사법 리스크 남았다... 대법 판결까진 오래 걸릴 듯 | 한국일보
- 산불에 끝까지 사찰 지키다... 영양 법성사 주지 스님도 희생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