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산불 사망자 1명 늘어 28명…피해 규모 역대 최대"

천현정 기자 2025. 3. 27. 22: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북 북부와 경남 산청, 울산 울주 등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규모가 역대 최대 수준을 넘어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경북 3명, 경남 5명 등 중상자는 8명이고 경북 18명, 경남 4명, 울산 2명 등 경상자는 24명이다.

경남 김해, 충북 옥천, 울산 울주 언양·온양의 산불은 완전히 진압됐고 경남 산청·하동, 경북 의성·안동·영덕·영양·청송, 전남 무주에서 산불 7건이 진행 중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곳곳에 산불이 발생하고 있는 27일 오후 경북 안동시 송사리 산자락에 불이 붙어 있다./사진=뉴스1 /사진=(안동=뉴스1) 이재명 기자

경북 북부와 경남 산청, 울산 울주 등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규모가 역대 최대 수준을 넘어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산불로 총 28명이 사망하고 32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27일 뉴스1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저녁 8시 기준 이번 산불로 총 28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오후 청송에서 사망자가 추가로 발견돼 이날 오전보다 사망자가 1명 늘었다. 경북 3명, 경남 5명 등 중상자는 8명이고 경북 18명, 경남 4명, 울산 2명 등 경상자는 24명이다.

불에 탄 산불영향 구역은 이날 오후 6시 기준 축구장 약 5만 4174개 크기인 3만 8666㏊로 집계됐다. 산림 피해 규모로 보면 역대 최대다. 경남 김해, 충북 옥천, 울산 울주 언양·온양의 산불은 완전히 진압됐고 경남 산청·하동, 경북 의성·안동·영덕·영양·청송, 전남 무주에서 산불 7건이 진행 중이다.

진화율과 산불영향 구역은 △경남 산청·하동(81%·1745㏊) △경북 의성(62%·1만2821㏊) △경북 안동(62%·5580㏊) △경북 영덕(55%·7819㏊) △경북 영양(60%·4362㏊) △경북 청송(80%·5115㏊) △전남 무주(95%·93㏊)다.

대부분 지역에 소방 대응 최고 단계가 발령됐다. 지역별 소방 대응 단계는 △경남 산청·하동(3단계) △경북 의성·안동·영덕·영양·청송(3단계) △전남 무주(2단계)다.

소방 대응 3단계는 5개 이상 소방서가 보유 자원을 총력 가동하며 소방서장이나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청장이 지휘하고 국가 차원의 지원을 하게 된다.

거주지로부터 대피한 주민은 이날 오후 7시 기준 총 3만7826명이다. 경북지역이 3만553명으로 가장 많았다. △울산지역(5250명) △경남지역(1908명) △전남지역(115명)이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2만9290명이 귀가했고 미귀가한 인원은 8536명으로 집계됐다.

주택·공장·사찰·문화재 등 불에 탄 시설물은 총 2639개소였다. 경북지역 2556개소, 경남지역 72개소, 울산지역 11개소였다.

천현정 기자 1000chyunj@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