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다시 늘수도" 한은의 경고 [토허제 재시행에 사라진 매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 이후 잠잠했던 가계부채 증가폭이 재차 확대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지난달부터 서울과 수도권 집값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금융의 가장 큰 잠재 리스크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부상했다는 지적이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비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서울 등 일부 지역은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리인하 걸림돌 될까" 경계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 이후 잠잠했던 가계부채 증가폭이 재차 확대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지난달부터 서울과 수도권 집값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금융의 가장 큰 잠재 리스크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부상했다는 지적이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비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서울 등 일부 지역은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 지난 2월 기준 수도권의 주택 매매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67%, 서울은 3.62% 올랐으나 비수도권은 1.04% 내렸다.
특히 서울은 2월 들어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3구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커졌다. 지난달 13일 잠실·삼성·대치·청담동에 지정된 토지거래허가구역의 대부분이 해제된 결과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강남3구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지난달 셋째 주 0.28%에서 이달 둘째 주에는 0.69%까지 올랐다. 같은 기간 서울도 0.06%에서 0.20%로 상승했다.
주택 매수심리가 반등하면서 거래량도 다시 늘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올해 1월 1~4주간 3367건에서 2월 1~4주간 5171건으로 증가했다. 거시건전성 규제 강화, 매수심리 및 주택가격 상승 기대 약화 등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감소세를 보이던 주택거래량이 다시 꿈틀거린 것이다.
이에 향후 2~3개월 동안 가계대출 상방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크다. 이종렬 한은 부총재보는 "주택거래와 가계부채 사이에 시차가 있기 때문에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전에 주택거래량이 증가한 부분은 3∼4월에 영향을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의 경계감도 짙어졌다. 경제 하방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지난해 10월부터 기준금리를 내리고 있는 한은 입장에서는 가계부채 상승세가 금리인하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지난해 8월 금융통화위원회가 '금리인하 실기론' 비판에도 13회 연속 금리를 묶은 배경도 수도권 집값 상승세였다.
이번 금융안정 보고서 작성을 주관한 황건일 금통위원은 최근 서울 일부 지역의 빠른 주택가격 상승세가 여타 지역으로 확산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부동산시장 및 가계부채 상황이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통화정책 운용을 제약하지 않도록 거시건전성 관리를 위한 긴밀한 정책공조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영란 가슴에 손댄 김영철, "남편에 죄송" 사과후 비난 쏟아져…왜?
- "아버지가 범인"…양평 주택화재 40대 부부 사망사건 '공소권없음'
- 정동원 "57평 한강뷰 아파트 대출없이 20억에 구매"
- '14세 연하와 결혼' 배성재 "장모님과 11세 차이"
- 김새론 편지 "김수현, 첫사랑이자 마지막 사랑"
- '김수현 양다리' 해명한 서예지 "불어난 오해에 큰 스트레스"
- '아들만 다섯' 정주리 "여섯째 NO…남편 정관수술"
- 남편 전처랑 술친구…"집에서 자고 가기도"
- 강리나 "에로영화 많이 찍은 이유? 다른 사람과 생각 달랐다"
- "30대女, 번개 맞고 초록색 눈이 갈색으로 변했다"..믿기 어렵겠지만 흔한 일? [헬스톡]